트림블 RTX 패스트 기술에 5G·LTE 통신망 연동
KT 가 10일 미국 측위기술 전문기업 트림블(Trimble)과 손잡고 통신망 기반의 고정밀 위치측정 통합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발표했다.
KT는 2018년 평창올림픽 자율주행 셔틀버스 운영을 계기로 정밀위치 기술 개발과 파트너십 확대에 주력해왔다. 트림블은 미국 본사를 둔 글로벌 기술업체로 위치기반 기술과 서비스 전문 기업이다.
양사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오차를 보정하는 트림블의 'RTX 패스트' 기술에 KT의 5G·LTE 통신망을 연동해 차세대 위치측정 서비스를 개발했다.
위성항법시스템은 전 세계 위성 신호를 받아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로 지도앱, 내비게이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터널, 지하공간, 건물 내부 등 위성 신호가 차단되는 곳에서는 위치 측정이 곤란하다는 한계가 있다.
위성 신호는 대기권 통과 시 지연되거나 건물·지형에 의한 간섭으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산출을 위한 보정 기술이 필수적이다. KT 통신망을 통해 트림블의 고정밀 위치 보정정보를 제공하면 기존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KT와 트림블은 개발된 정밀위치 기술을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과 차량사물통신(V2X) 탑재 차량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ADAS는 차량 내 카메라와 센서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돕는 기능으로 차선이탈 알림, 차선유지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시제품부터 양산차량까지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시험에 양사의 정밀위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ISO 26262 기능안전 국제표준의 ASIL 인증을 취득했다.
KT는 향후 스마트시티, 물류, 로봇 등 다양한 IoT 분야로 정밀위치 기술 적용을 넓혀나갈 예정이다. 트림블을 비롯한 글로벌 기술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실시간 센싱, 데이터 융합 기반 위치정보 서비스도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