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네이버 등 국내 10여곳과 MOU
한화시스템이 국내 대학 및 인공지능(AI) 기업들과 손잡고 방위산업 분야 최초로 '소버린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소버린 AI는 국가 또는 기업이 자체 인프라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운용·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한화시스템은 10일 서울대, KAIST, 포스텍, 네이버클라우드 등 10여 개 대학과 AI 선도·중소기업들과 '국방 AI 기술 자립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보안이 핵심인 국방 분야에서 국내 기술 기반의 AI 모델을 구축해 기밀 유출 위험을 줄이고, 해외 서비스 종속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화시스템은 대공방어 분야에서 '미래형 전장 상황인식 AI 모델'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실시간 위협 분석, 무기체계 선택을 위한 지휘결심 지원 등 전장 의사결정 체계를 국산 AI 기술로 구현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해외 AI 기술에 의존할 경우 기밀 유출, 한국형 솔루션 구현의 한계, 서비스 제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자체 AI 모델 확보를 통해 국방과 산업 안보의 자주성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박성균 한화시스템 디펜스전자(DE) 사업단장은 "이번 MOU는 기술 협력을 넘어, 국내 AI 기술의 독립과 자생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적 출발점"이라며 "K-방산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위해 미래 전장 기술의 현장 적용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은 2021년부터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커넥트:H'를 통해 무인자율 및 AI 기술을 개발해왔다. 군인공제회와 함께 조성한 밀리테크 벤처펀드를 통해 AI, 양자컴퓨팅, 사이버보안 등 미래전 핵심 기술에도 투자하고 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