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모니터, 외식 시장 보고서 발표
매장 취식 비중 줄고, 배달·포장 비중 증가
국내 외식시장에서 2029년에는 매장 취식과 배달 비중이 거의 같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배달과 포장은 꾸준히 늘어나지만, 매장 취식 비중은 지속해서 줄면서 차이가 좁혀지는 추세다.
글로벌 데이터 분석 기업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은 9일 2024년 소비자 외식 시장 조사 결과 및 전망과 함께 글로벌 외식 시장 주요 트렌드를 발표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외식산업 규모는 110조8000억원으로, 전년(107조1600억원)보다 3.4% 커졌다.
지난해 소비자 이용 현황을 보면 매장 취식(45%), 배달 (35%), 포장(19%) 순으로 나타났다. 2019년 18% 수준이었던 배달 비중은 코로나19 확산기인 2021년 일시적으로 40%까지 치솟았다가, 2022년부터 30%대를 기록하고 있다. 포장 외식(테이크아웃) 시장도 조금씩 규모를 넓히고 있다. 반면 매장 취식 비중은 2023년 이후 지속해서 줄고 있다.
이에 따라 2029년에는 배달 비중이 37%까지 커지며 매장 취식과 비중이 비슷해질 것으로 유로모니터는 전망했다. 또 포장(테이크아웃)이 외식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으면서 국내 테이크아웃 시장도 2029년에는 전체 외식 시장 내 24%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유로모니터는 테이크아웃 시장의 성장이 가정간편식(HMR)과 경쟁 구도를 보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승우 유로모니터 식품&외식 부문 책임 연구원은 "맛과 품질 면에서 빠르게 진화하는 HMR 제품은 가격 경쟁력도 있어 외식과 직접 경쟁하는 구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끼 간단하게 먹고자 하는 소비자가 HMR 제품과 테이크아웃 중에서 고르는 풍경이 일상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국내 외식 문화가 전통적인 상차림에서 한 그릇 식사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고깃집이나 횟집 등 2∼4인 위주의 식사가 줄면서, 메뉴를 간소화하거나 국밥·찌개·덮밥·면류 등 간단하면서도 한 끼를 충족시킬 수 있는 메뉴를 전문으로 하는 매장으로 바뀌는 움직임이 있다는 것이다. 피자와 치킨 전문점들도 최근 1인용 메뉴를 선보이는 등 메뉴 및 가격 구조 개선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1인 가구 증가, 편리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 외식 비용 상승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