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3분기 낸드 가격 10% 상승 전망…감산 영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대만 트렌드포스 "낸드 수급 균형 상당히 개선"

올해 상반기 메모리 업체들의 감산·재고 축소 여파로 3분기 낸드 가격이 최대 10%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체 낸드 가격은 5∼10%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분기(3∼8%)보다 소폭 늘어난 수치다.

트렌드포스는 "상반기 (업체들의) 감산과 재고 축소 후 낸드 플래시 시장은 수요와 공급 균형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였다"며 "메모리 공급업체들이 고수익 제품으로 생산 역량을 전환함에 따라 전체 유통 중인 (낸드의) 공급량은 감소했다"고 했다.


삼성 QLC 9세대 V낸드. 삼성전자

삼성 QLC 9세대 V낸드. 삼성전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작년 하반기부터 낸드 시장은 최종 고객들의 재고 비축으로 인해 수요가 줄고 공급사들은 재고 압박을 겪으며 가격이 한때 하락하기도 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키옥시아, 마이크론 등은 업황 둔화의 직격탄을 맞아 낸드 부문 매출이 감소했다. 하지만 공급 업체들이 최근 계속해서 낸드 공급 조절에 나선 덕에 가격 상승 흐름이 궤도에 올랐다는 분석이다.


제품별로는 전 분기 큰 변화가 없었던 기업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가격이 3분기에 5∼10% 상승할 전망이다. 서버에 들어가는 기업용 SSD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가 추세 등에 따라 수요가 늘어날 여력이 있어서다.

소비자용 SSD는 윈도우 10 지원 종료와 새로운 중앙처리장치(CPU) 출시 등으로 나타난 교체 수요로 3분기 3∼8%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반면 모바일·스마트폰은 수요 약세가 이어져 eMMC·UFS 가격은 0∼5% 인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낸드 재료인 3D(3차원) 웨이퍼 가격은 2분기에 15∼20% 인상됐던 것과 달리, 고수익 제품에 주력하는 제조업체들이 웨이퍼 구매에 보수적으로 접근하면서 3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소폭 하락한 8∼13% 인상이 예측된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