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공공기관 등 40개사 선정
고용노동부는 대화와 협력으로 상생의 노사문화를 실천하는 기업들을 '2025년도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선정된 곳은 엠스텍과 정우금속공업, 코비코 등 40개사다.
고용부는 올해 전국에서 140개 기업이 노사문화 우수기업을 신청했고, 지역별 서면 심사와 사례 발표 등을 거쳐 중소기업 19개사와 대기업 13개사, 공공기관 8개사 등 총 40개사를 선정했다.
소프트웨어 개발 중소기업인 주식회사 엠스텍은 2021년 주요 고객사인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로 위기를 겪었지만 노사가 힘을 모아 신사업을 발굴하고 직무 재배치로 고용을 유지하는 등의 노력으로 재도약 기회를 만들었다. 성과급 지급 기준을 명확히 해 매년 회사 이익의 60%를 전 임직원에게 배분하면서 노사 신뢰를 굳히는 등의 행보도 보였다.
배관 부속 제조 분야 중소기업인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는 2021년 118일간의 장기 파업을 겪은 이후 최고 경영진이 직접 교섭에 참여하는 등 열린 경영으로 참여적인 노사 관계를 구축, 갈등을 극복했다. 노조는 근로시간 면제 잔여 시간을 자발적으로 반납하고 임단협 교섭 차수를 줄이는 등 효율적인 교섭 문화 정착에 동참했다.
차량 부품을 제조하는 중소기업인 코비코는 1997년 외환위기로 부도가 난 회사를 전 직원의 퇴직금 출자로 회생시킨 종업원 지주사다. 25년간 회사와 일자리를 지켜내면서 노사 상생의 가치를 실천한 점이 우수 사례로 꼽혔다. 매년 특성화고 졸업자를 채용하고 정년 퇴직자를 재고용하는 등 고용 안정 실현에 앞장선 점도 주목받았다.
그 밖에 남양금속과 대성청정에너지, 럭스코, 메디포스트, 바텍, 성화산업, 에스제이금속 등의 중소기업이 올해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됐다.
대기업 중에서는 경남에너지, 녹십자, 동원에프앤비, 롯데칠성음료, 삼성바이오에피스, 선진, 엘지씨엔에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공공기관에서는 경기도일자리재단과 광주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이 선정됐다.
고용부는 올해 선정된 우수기업을 상대로 향후 3년간 정기 근로감독을 면제해주고 모범 납세자의 경우 세무조사도 유예해준다. 대출금리 우대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사실은 고소득자…배신감 느껴" 반전 연봉으로 포털 달군 '짱구 아빠' [일본人사이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115590342973_175221714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