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수험생 절반 "서울대 10개 만들면 진학 고려"…지방 정착은 글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대학 가도 지방 정착 의사는 없다"가 47%

수험생 절반 "서울대 10개 만들면 진학 고려"…지방 정착은 글쎄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교육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연일 교육계 화두로 떠오르는 가운데 해당 정책이 시행되면 수험생의 절반가량은 진학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해당 대학 졸업 후 지역에 정착할 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로학원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4일까지 고교 1~3학년 학생과 수능에 2회 이상 응시한 N수생 수험생과 학부모 666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한 결과 45.7%가 "서울대가 10개 만들어질 경우 진학 의사가 있다"고 대답했다. '없다'는 응답은 28.6%, '보통'은 25.7%였다.

'진학 의사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양질의 수업과 연구 등 교육 환경이 우수할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38.5%로 가장 많았으며 '취업이 잘될 것 같아서'(23.5%), '명문 대학 타이틀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서'(19.6%), '장학금이나 기숙사 등 학생지원이 강화될 것 같아서'(13.9%)가 뒤를 이었다.


다만 진학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이들 중에서도 절반에 가까운 47%가 해당 지역에서 취업 및 정착할 의사가 있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다. '있다'는 응답은 26.3%에 그쳤다. 진학 의사가 없다고 밝힌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5% 역시 그 이유로 '지방으로 가고 싶지 않아서'를 꼽았다. '거점 국립대의 경쟁력 향상이 불확실해서'(25.9%)도 주요 이유였다.


종로학원은 "수험생 입장에서는 상위권 대학이 추가로 만들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찬성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지역 거점 국·공립대 진학 후 해당 지역에서 취업 및 정착할 의사가 없다는 의견이 47%에 달해 해당 지역 내에서 특정 기업 등과 연계되는 시스템이 없을 경우 졸업 후 지역 내 거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은 지역 거점국립대에 대한 전략적인 투자로 지역에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까지 끌어올려 수도권 중심의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가 균형 발전을 이루겠다는 취지로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교육 공약으로 꼽힌다. 다만 교육계에선 국립대 집중 육성으로 사립대가 소외될 수 있고 지역 산업이 위축된 상황에서 대학으로 지역 발전을 꾀하는 것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