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제1회 방위산업의 날' 맞아 토론회 개최
방산 4대 강국 도약 목표…"정부가 투자하고 지원하고 관심 기울일 것"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방위산업 생태계 구축 등 언급
참가지들, AI기술 중요성 한 목소리…국방 데이터 통합관리체계도 제안
이재명 대통령이 '제1회 방위산업의 날'을 맞아 개최된 방산업계와 토론회에서 안보 변화에 맞춰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규모와 상관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참가자들은 인공지능(AI) 기술의 중요성과 국방 데이터 통합관리체계 마련 등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이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이 대통령은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를 갖고 "방위산업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산업으로 지금까지는 내수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면 이제 그 역량을 인정받아서 전 세계로 무기 체계를 수출하는 그런 나라가 됐다.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기를 바란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서 "(방위산업 육성과 관련해)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투자, 해외 판로 확대 등의 범부처 차원의 노력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면서 방산 4대 강국이라는 목표 달성을 이끌 방산 육성 컨트롤 타워 신설과 '방산수출진흥전략회의' 정례화도 검토해달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 등 방산기업 대표 100여 명을 포함해 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장, 이건완 국방과학연구소장, 손재홍 국방기술진흥연구소장,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김용범 정책실장, 류덕현 재정기획보좌관,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등이 함께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 산업은 대한민국의 안보와 일자리를 지킨다는 점과 대한민국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앞으로 우리 정부가 방위산업에 대해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투자하고 지원하고 관심을 기울여서 세계적인 방위산업 강국으로 좀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K-방산 제품의 경쟁력 강화,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 정부의 수출 지원 강화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선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춰서 우리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빛의 속도로 변하는 전장에서 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 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될 것 같다.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들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또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 영역에서 지금은 이제 소수의 대기업 중심이라는 지적들이 있는데 많은 사람들, 많은 기업들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겠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수출 영역에서 정부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안보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잘 이뤄내서 우리 방위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분 또는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 참가자들은 한목소리로 AI기술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아울러 기술력 확보를 위한 국방 데이터 접근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국방데이터 통합관리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과 방위산업 발전법이 시행됨에 따라 방위산업청이 아닌 '방위산업부' 수준으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와 관련해 강유정 대변인은 토론회 종료 이후 브리핑을 통해 "(참가자들 중) 스타트업은 대기업 직접 경쟁하는 것보다 컨소시엄을 제안했고, 이 대통령은 방산업이 창의적 유연사고 필요한 만큼 중소·벤처기업에게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방산수출 콘트롤타워 신설을 지시한 점을 언급하며 방위산업은 안보와 민생 함께 책임지는 중요 산업인 만큼 민관이 함께하는 생태계 전환 등에 최선 다하겠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