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진상을 밝히는 데 선제적으로 김건희 특검에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또 야당(국민의힘)이 양평고속도로 관련 일부 인사 출국금지에 대해 야당 탄압이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 어불성설이라며 이번 사건은 김건희 일가의 양평군민 탄압이라고 되받아쳤다. 나아가 당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장관과 김선교 국회의원 등을 향해 지금이라도 '고해성사'하라고 압박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서울~양평고속도로 현장인 양서면 청계리 54-1 현장을 찾아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과거에 '선거는 패밀리비즈니스'라고 한 바 있다"며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활용한 정황이 너무나 명백한 만큼 (김건희) 특검은 누가(Who), 왜(Why), 어떻게(How) 이런 일을 만들어 지난 3년을 허송세월하게 했는지,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게 피해를 줬는지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특검에 의해)출국 금지된 어떤 야당인사는 야당탄압이라고 얘기하는데 어불성설"이라며 "야당에 대한 탄압이 아니라 그동안 김건희 일가가 양평군민을 탄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필요하다면 경기도가 자료 임의제출까지 해서라도, 특검이 명명백백하게 진상을 밝히는데 선제적으로 협조하겠다"며 "이제는 원안대로 빨리 추진하는 것이 답이고, 제대로 된 사업이 빠른 시간 내 속개되도록 경기도는 중앙정부와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약속했다.
김동연 지사는 또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 출국 금지 등 수사 방향에 대해서는 "특검이 주요 관련자들을 출국금지 시킨 조치는 타당한 조치라고 생각한다"며 "원희룡 전 장관, 이곳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김선교 국회의원, 양평군 일부 관련 있는 고위공무원들 모두가 고해성사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서울~양평고속도로는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에서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의 27.0km구간(4~6차로)을 잇는 공사다. 하지만 예비타당성조사까지 마친 해당 노선은 윤석열 정권 출범 직후 돌연 변경됐다. 종점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바뀌면서 국민 혈세인 사업비도 1000억원 가량 늘었다. 일각에서는 강상면에 김건희 일가 토지가 있었기 때문에 자연히 윤석열 당시 대통령 처가의 땅값 상승을 노리고 종점을 바꾼 게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그러자 원희룡 당시 국토부장관은 사업 자체를 아예 '백지화'시켜버렸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경기도민과 국민의 몫으로 돌아갔다.
이에 김동연 지사는 서울~양평고속도로 논란과 관련해 세 번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원희룡 당시 국토부장관의 백지화 결정에 대해선 사업 백지화 철회를 촉구했고(2023년7월12일), 두 번째 입장문에선 원안 이행(2023년8월3일)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 지난 3월에는 윤석열 정부의 공식 사과와 함께 원안 추진, 해당 의혹에 대한 '감사가 아닌 수사'를 주장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잠깐 이체만 해주시면 돼요" 말에 속아 내 계좌가 막혔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608135447142_1752621233.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