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박정희 동상' 조명한 日 매체 "논란의 뿌리는 일본"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보수-진보진영 간 역사 인식 차이 극명해"
"과거 둘러싼 평가-해석…韓사회 양분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동상 건립을 두고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찬반 목소리가 극명하게 갈리는 가운데 일본 언론에서도 이를 집중조명했다.


일본 마이니치 신문은 7일 "한국에서 박 전 대통령 동상 철거를 요구하는 반대하는 운동이 격렬히 전개되면서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역사 인식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동대구에 위치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대구시청.

동대구에 위치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대구시청.

AD
원본보기 아이콘

박 전 대통령의 고향인 경북 구미시 경북도청 앞에는 지난해 12월 완공된 동상이 서 있다. 이 동상을 세운 김형기 경북대 명예교수는 마이니치 신문에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초석을 닦은 지도자인데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그 업적을 후세에 알리기 위한 상징적 의미로 동상을 건립했다"고 밝혔다.

마이니치 신문은 박 전 대통령이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를 통해 일본으로부터 5억 달러의 경제 협력 자금을 끌어냈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출 중심의 공업화를 추진해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끌어 낸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도 "1961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고 장기 독재를 이어갔으며 민주화 운동을 가혹하게 탄압한 전력으로 지금까지도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고 평했다.


김 교수는 북한과의 대치 속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통치기에 불가피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정희는 5000년 가난을 끝낸 한국의 '백두대간'"이라고 평가했다. 이번에 세워진 동상은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이순신 장군 동상보다 약간 더 높게 제작되어 상징적인 의미를 더했다는 것이다.


동대구역에 모습 드러낸 박정희 동상. 연합뉴스,

동대구역에 모습 드러낸 박정희 동상.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크게 들린다. 엄창옥 경북대 명예교수는 마이니치에 "일제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일본과 결탁한 친일파가 어떻게 백두대간이 될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이어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일제 강점기 일본에 협력했고 민주화를 탄압한 독재자"라며 "그의 동상을 지금 시대에 세우는 것은 시대정신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엄 씨는 자신이 생각하는 '진정한 백두대간'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을 꼽았다. 김 전 대통령은 박정희 정권의 탄압 속에서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고 2000년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엄 교수는 "김대중 대통령은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계승했고, 민주주의를 회복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마이니치는 박 전 대통령이 만주국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괴뢰국인 만주국에서 군 장교로 복무한 이력을 언급하면서 "'친일파' 논란의 핵심"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한국에는 최소 60여 개의 전직 대통령 동상이 존재하는데 이 중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은 총 16개로 가장 많다"고 전했다.

한국의 역사 인식의 차이는 지역감정과도 얽혀 있다고 마이니치는 짚었다. 박 전 대통령의 지지세가 강한 경북·대구 등 영남 지역과,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광주·전남 등 호남 지역은 여전히 정치적, 정서적으로 대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박정희 정권하에서 체결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자 일제 식민 지배가 종식된 지 80주년이 되는 해다. 마이니치는 "과거를 둘러싼 평가와 해석은 여전히 한국 사회를 양분하고 있다"면서 "(박 전 대통령은) '영웅인가, 독재자인가'라는 질문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라고 덧붙였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