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8.5%… 3년 만에 최고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6·27 대책 후 낙찰가율 상승세 꺾일 전망"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상승세는 꺾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8일 발표한 '6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3013건으로 한 달 전보다 4% 증가했다. 낙찰률(경매 물건 중 최종 낙찰되는 비율)은 42.7%로 전월(38.7%)보다 4%포인트 높아졌다. 낙찰가율은 87.6%로 0.2%포인트 낮아졌지만, 서울과 세종 등 일부 지역에서 높은 낙찰가율이 이어지며 전체 평균은 견조하게 유지됐다. 평균 응찰자 수는 8.5명으로 전달과 비슷했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46.5%로 5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낙찰가율은 98.5%로 전월(97.7%)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첫 회차 낙찰 비중이 전체의 31%에 달해 낙찰률 상승에 영향을 줬다. 지지옥션은 "강남권뿐 아니라 노원·도봉·구로 등 외곽 지역에서도 고가 낙찰이 이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며 "다만 6·27 대책으로 대출한도가 급격히 축소됐고 투자 수요가 사실상 차단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향후 낙찰가율 상승세는 꺾일 전망"이라고 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9.2명으로 전월보다 0.7명 늘었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8.5%… 3년 만에 최고치
AD
원본보기 아이콘

경기 지역은 낙찰률 51.2%, 낙찰가율 89.7%를 기록하며 각각 5.7%포인트, 2.1%포인트 올랐다. 분당과 수지 지역에서 고가 낙찰이 늘면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응찰자 수는 평균 11.1명으로 전달보다 1.2명 늘었다.


인천은 낙찰률이 40.4%로 올랐지만, 낙찰가율은 79.0%로 3.2%포인트 하락해 한 달 만에 다시 80% 아래로 떨어졌다. LH가 미추홀구 전세사기 피해 주택을 저가에 매입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응찰자 수는 7.5명으로 전달보다 2.7명 줄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 부산은 낙찰가율이 81.8%로 10개월 만에 80%선을 넘었고, 광주는 83.9%로 올해 들어 가장 높았다. 대구는 83.2%로 전달과 비슷했지만, 대전은 67.0%로 14.9%포인트 급락해 역대 두 번째로 낮았다. 울산은 85.2%로 2.0%포인트 하락했다.


8개 도 지역에서는 대부분 하락세가 나타났다. 충남(78.6%)은 3개월 만에 70%대로 내려왔고, 전북(87.2%)·전남(76.0%)도 각각 4.5%포인트, 3.4%포인트 떨어졌다. 경북(78.9%)과 충북(81.7%)도 소폭 하락했고, 경남(80.7%)과 강원(87.3%)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제주는 21건 중 8건이 낙찰돼 낙찰가율 86.9%를 기록했고, 세종은 16건 중 5건이 낙찰되며 92.4%로 집계됐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