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모두 대중 반도체 포위망 핵심 국가
말레이시아, 후공정 등 반도체 공급망서 중요도↑
"관세율 압박해 중국서 떼내려는 의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14개국에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고 유예기한을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연기했다. 이번 통보에 포함된 국가는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공, 라오스, 미얀마, 튀니지, 보스니아 헤르체코비나,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캄보디아, 태국 등(트루스소셜에 피드한 국가별 서한 순서)이다. 한국은 4월 발표와 동일한 25% 관세율을, 일본과 말레이시아는 1%포인트 오른 25% 관세율을 적용했다. 나머지 국가는 관세율을 낮추거나 동결시켰다.
8일 KB증권은 '미국이 상호관세 서한을 발송해서 얻으려는 것' 보고서를 통해 이번 상호관세 서한은 사실상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지정학적으로도 미국에 큰 의미가 있는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세 나라를 겨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한국은 메모리와 파운드리, 일본은 소재·부품·장비, 말레이시아는 후공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페낭(Penang) 지역이 '실리콘 아일랜드'로 불릴 정도로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기지가 집중돼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AI 반도체 패키징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기업들도 생산시설을 확충하면서, 말레이시아는 미국이나 중국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 외교 노선을 고수하고 있다. 반도체 외에도 희토류 공급망에서도 말레이시아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김일혁 KB증권 스트래티지스트는 상호관세가 "미국의 대중국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에 협조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에는 중국과 가까워지지 않도록 견제하고 방위비 분담액과 국방비 지출을 늘리라고 압박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며 "미국은 말레이시아에 대해서도 관세로 위협해서 중국 반도체 공급망을 약화하고, 미국의 반도체와 희토류 공급망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 작년에 1315억달러 대미 수출 품목 가운데 이번 상호관세 대상이 되는 품목 금액이 473억달러에 이른다. 이는 자동차 및 부품, 철강, 알루미늄처럼 무역확장법 232조를 기반으로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고 있어서 상호관세의 대상이 아닌 품목을 제외하고, 반도체 및 장비, 의약품, 구리, 목재·임산물처럼 미국이 품목별 관세를 검토 중인 품목들도 제외한 수치다.
지난해 1482억달러를 미국에 수출한 일본의 경우 상호관세 대상은 724억달러로 많은 편이다. 작년에 525억달러를 미국에 수출한 말레이시아는 상호관세 대상 품목 금액이 256억달러다.
조시영 기자 ibpr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