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UAM 끊김없이 비행" ETRI, 6G 초공간 통신 시연 성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상망과 위성망을 통합한 '6G 초공간 통신' 기술의 실시간 시연에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6G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에 한 걸음 가까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ETRI는 지상 기지국과 위성 기지국, 통합 단말, 6G 코어로 구성된 테스트베드에서 도심교통항공(UAM)이 실제 도심을 비행하면서 끊김 없는 지상·위성망 연결을 실시간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이문식 ETRI 위성통신연구본부장이 최근 열린 'ETRI 컨퍼런스 2025'에서 6G 초공간 통신을 위한 위성통신 핵심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이문식 ETRI 위성통신연구본부장이 최근 열린 'ETRI 컨퍼런스 2025'에서 6G 초공간 통신을 위한 위성통신 핵심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시연에서는 통합 단말과 6G 코어에 '듀얼 스티어링' 기술이 적용돼 상황에 따라 지상 또는 위성 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해 안정적 통신이 가능한 환경이 구현됐다.


ETRI는 시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CG 기반의 애니메이션과 실제 테스트베드 장비를 연동해 지상-UAM과 위성-UAM 간 무선 링크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또 키사이트 채널 에뮬레이터로 실제와 유사한 무선 환경을 정밀하게 보여줬다.


시연에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로 마치 UAM에 탑승한 듯한 느낌으로 초공간 6G 서비스를 체험하는 것도 가능했다. 몰입감 높은 체험은 향후 UAM 기술이 상용화되는 시점에 많은 관심을 불러올 것으로 ETRI는 기대한다.

앞서 ETRI는 기술 시연에 적용된 6G 초공간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3GPP 국제표준화 활동을 주도하고, 개방형 무선 접속망(Open RAN) 연합에 참여하는 등 국제표준 선도를 위한 연구 활동을 전개해 왔다.


ETRI는 이 기술과 관련해 SCI 논문 14편을 발표, 국내외 특허 48건 출원과 3GPP 국제표준 채택 43건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도 달성했다.


시연을 통해 확인한 ETRI의 기술력은 향후 UAM을 포함한 차세대 모빌리티 서비스에 우선 적용돼 지상과 위성을 끊김 없이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은 "6G 시대에는 지상과 하늘의 경계를 허물고,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진정한 '초공간 통신'이 실현될 것"이라며 "이번 시연은 한국의 6G 분야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입증한 성과물"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6G 핵심 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ETRI가 주관기관을 맡고, SK텔레콤·KT·LG유플러스·KT SAT·SK텔링크·AP위성·클레버로직·에프알텍·RFHIC·엠티지·아주대·인하대·KAIST 등이 사업에 참여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