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표절·쪼개기 의혹 해명 전무
초중등 교육 비전·철학도 불확실
청문회서 장관 적임 이유 보여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다. 이 후보자는 충남대학교의 첫 여성 총장이자 거점국립대 최초의 여성 총장이라는 경력이 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프로젝트에 깊이 관여하기도 했다. 커리어로 보면 새 정부가 내세우는 공교육 회복과 미래를 향한 교육의 전환을 이끌어야 하는 교육부 장관이 되기에 부족하다고 할 수 없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6.30 윤동주 기자
그러나 다른 분야도 아닌 교육부 장관이라면 그것만으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정책에 대한 이해도는 물론 교육에 대한 철학과 함께 남의 본보기가 될 수 있는 도덕성까지 검증받아야 한다. 여기에 혹여 '유리 천장을 깬 여성 리더'라는 수식어가 끼어들 틈은 없다.
이 후보자 지명 이후 지금까지의 흐름을 보면 선뜻 긍정적 평가를 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그를 둘러싼 의문들이 속속 나오고 있는데, 그에 대한 속 시원한 해명은 보이지 않는다.
이 후보자는 우선 논문 표절 의혹에 휩싸여 있다. 이 후보자가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시절 제자의 석·박사 논문과 유사한 논문을 최소 10편 이상 발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2003년 대한건축학회 논문은 그보다 한 해 전 제자가 쓴 논문과 문장 상당 부분이 유사했고, 2009년 논문도 마찬가지였다. 이 후보자는 해당 논문들의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고 한다. 제자의 연구 성과를 가로챘다는 말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대형 프로젝트를 교수 주도로 진행하다 보면 제자와 논문 내용이 겹칠 수 있다"는 반박은 가능하다. 그러나 논문을 투고하며 제자의 연구 결과를 인용하지 않은 점은 여전히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프로젝트 일부를 요약해 투고했더라도 인용과 기여도 표기 없이 발표된 논문이 학계 윤리를 지켰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이다. '논문 쪼개기' 의혹도 불거져 있다. 2018년 한국색채학회 논문과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이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교육부의 수장이 되고자 하는 사람의 논문 표절 의혹은 단순한 도덕성 문제만으로 볼 수 없다. 교육계의 신뢰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앞서 몇몇 장관 후보자들이 비슷한 의혹으로 낙마했다. 의혹과 비판이 현실에 비춰 가혹하다는 지적이 없지 않았지만 '기준'을 높이 세우는 것이 '적당히' 타협하거나 넘어가는 것보다 바람직하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교육'이기 때문이다. 이 후보자는 피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해명해야 한다. 그래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교육계 일각에선 이 후보자의 초등과 중등교육에 대한 비전과 철학이 어떤 것인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다. 이 후보자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겠다"고 했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교육부 장관은 고교학점제, AI 디지털 교과서, 유보통합, 대입 개편 등 복잡다단한 이해관계와 대한민국의 미래가 걸린 문제들을 풀어내고 집행해야 한다. 그래서 철학, 추진력, 신뢰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하루짜리 청문회에서 이 모두를 증명해 내기는 힘들겠지만, 적어도 '해낼 수 있을까'라는 의문에 대한 답은 내놓아야 한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