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시야 제한? 시야 제로인데?"…블랙핑크 콘서트 논란된 '좌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시야제한석 아닌 일반석 가격으로 판매
대형 스크린으로 인해 무대 전혀 볼 수 없어

그룹 블랙핑크(BLACKPINK)가 1년여 만에 완전체로 뭉치며 월드투어를 시작한 가운데 콘서트의 일부 시야제한석을 일반석으로 판매해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온라인 커뮤니티를 비롯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이번 블랙핑크 콘서트 좌석 예매를 두고 불만과 문제점을 제기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블랙핑크는 지난 5~6일 경기도 고양종합운동장 주 경기장에서 새 월드투어 '데드라인'을 시작했다. 이 가운데, SNS에서는 이번 콘서트에서 일부 좌석에 배치된 관객들이 무대를 가리는 대형 스크린 구조물로 인해 공연을 제대로 보기에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한 누리꾼은 "공연 대부분을 벽만 봤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몇몇 누리꾼은 대형 스크린 구조물 때문에 무대를 전혀 볼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6일 온라인 커뮤니티를 비롯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이번 블랙핑크 콘서트 좌석 예매를 두고 불만과 문제점을 제기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X(엑스)

6일 온라인 커뮤니티를 비롯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이번 블랙핑크 콘서트 좌석 예매를 두고 불만과 문제점을 제기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X(엑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문제가 된 좌석은 무대 정 반대편이자 공연장의 맨 끝 쪽인 'N3' 구역이다. 해당 구역 앞에는 콘솔과 거대한 스크린이 놓여 있었는데 시야를 완전히 가려 무대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도 좌석은 시야제한석으로 분류되지 않았고 일반 좌석(B석) 가격인 13만2000원에 판매됐다. 시야제한석은 9만9000원에 판매됐다. 다만 예매 당시 '일부 좌석은 무대 연출, 아티스트의 위치 등으로 인해 콘솔, 구조물, 무대 장비, 카메라 등에 의해 시야가 제한될 수 있다'는 안내 문구는 있었다. 또 난간 등으로 시야 방해가 발생하는 구역과 테이블석 등은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었지만, 해당 'B석'은 그런 안내가 전혀 없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가격이 시야제한석보다 높은 데다 전광판으로만 공연을 즐길 수 있었기에 누리꾼 사이에선 "영화관 단체 관람 수준"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블랙핑크의 새 월드투어 '데드라인' YG엔터테이먼트

블랙핑크의 새 월드투어 '데드라인' YG엔터테이먼트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관객들 사이에선 환불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지만, 예매 페이지에는 '공연 당일 시야 방해 등으로 인한 티켓 환불 또는 변경은 불가능하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일부 팬 사이에서는 한국소비자원에 신고하겠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공연업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르면 주최·주관 측의 귀책으로 관람이 곤란할 경우 티켓값 전액 환불은 물론 입장료의 10%를 위자료로 배상받을 수 있다. 실제 지난 2023년 브루노 마스 내한 공연 당시 무대를 비롯해 스크린조차 보이지 않는 '벽뷰' 좌석에 대한 환불 조치가 이뤄진 바 있다. 한편 블랙핑크는 이번 '데드라인' 월드투어를 통해 신곡 '뛰어'를 발표하고 LA, 시카고, 뉴욕, 파리, 밀라노, 바르셀로나, 런던, 가오슝, 방콕, 자카르타, 불라칸, 싱가포르, 도쿄, 홍콩 등 16개 도시 스타디움 등 총 16개 도시에서 전 세계 팬들과 만날 예정이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