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 AI 기반 차세대 미디어 표준 경쟁 주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멀티미디어부호화(ISO/IEC JTC 1/SC 29) 국제회의서 AI 기반 차세대 미디어 표준 개발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비디오 코덱 기술 관련, 한국이 국제표준화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47차 '멀티미디어부호화(ISO/IEC JTC 1/SC 29)' 국제표준화회의에서 한국은 AI 기반 차세대 비디오 코덱 기술 관련해 130여 건의 기고서를 제출하는 등 표준화 논의를 주도했다고 7일 밝혔다.

韓, AI 기반 차세대 미디어 표준 경쟁 주도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회의에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국내 기업들과 애플, 화웨이, 노키아, 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등 30여 개국 6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차세대 기술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의 무대였다.

회의에서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차세대 비디오 코덱 ▲AI 영상분석에 최적화된 비디오 압축 ▲AI 기반 3D 공간정보 압축 ▲실감형 가상세계 구현을 위한 가우시안 스플래팅(Gaussian Splatting) 등 AI 기술이 접목된 표준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과거의 코덱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단순히 영상을 압축했다면, AI 기반의 차세대 코덱은 데이터로부터 영상의 내용을 이해해 중요한 정보는 보존하고, 불필요한 정보는 제거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압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2030년 AI 코덱이 상용화되면 개인 측면에서는 8K 초고화질 스트리밍과 실감형 메타버스 서비스를 더 적은 데이터로 즐길 수 있게 되며, 산업적 측면에서는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원격의료 등에 활용돼 AI 기반 미래 서비스의 현실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정창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AI 코덱이 상용화되면 미디어 기술의 대전환기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우리나라가 개발한 기술이 실제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돼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미디어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