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두 차례 통화
미일 간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일본 측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과 최근 두 차례 전화 통화를 갖고 의견을 조율했다. NHK 등 일본 언론은 6일, 미일 양국이 8일 예정된 상호 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막판 협의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 발표에 따르면, 아카자와는 지난 3일과 5일 밤 각각 45분, 60분가량 러트닉 장관과 통화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미국의 관세 조치를 놓고 각국 입장을 재확인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일본 정부는 "앞으로도 미국 측과 활발히 조율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두 사람은 지난달 27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7차 협상에서도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당시 아카자와는 협상 연장을 위해 체류 일정을 하루 늘려 미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선트와의 면담을 시도했지만, 결국 만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일본 압박성 발언이 이어졌다. 트럼프는 지난달 30일 트루스소셜에 "일본은 쌀 부족을 겪고 있음에도 미국산 쌀 수입을 꺼리고 있다"고 주장했고, 이어 전용기에서는 "일본과 합의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내놨다. 또 일본이 "잘못 길들여졌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NHK는 아카자와가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을 염두에 두고 러트닉과의 통화에서 의견을 나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