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저출산 대응 예산 88.5조원 확정…정책효율 평가 본격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직접 대응에는 28.6조 투입
성과 낮은 사업은 구조조정 추진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예산이 총 88조5000억 원으로 확정됐다. 저출산 대응 직접 사업에는 28조6000억 원이 투입돼 전년보다 3조3000억 원 늘었다. 정부는 올해부터 성과지표에 기반한 정책평가 체계를 본격 가동하고, 효율이 낮은 과제에 대해선 구조조정도 검토할 방침이다.

저출산 대응 예산 88.5조원 확정…정책효율 평가 본격화
AD
원본보기 아이콘

4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제14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시행계획은 '제4차 기본계획'(2021~2025)의 마지막 연차 계획으로, '저출생 추세반전 대책' 등 기존 정책의 세부 추진방안을 담았다.


올해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관련 과제는 총 300개로, 전체 예산은 전년보다 6.4%(5조3000억 원) 증가한 88조5000억 원 규모다. 특히 저출생 대응과 직접 연계된 직결과제에만 28조6000억 원이 배정돼 전년 대비 3조3000억 원 늘어났다. 지방정부 차원의 대응도 강화된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가 수립한 자체 시행계획에는 6741개 사업에 총 12조2000억 원이 투입된다. 전년보다 14.1%(1조5000억원) 확대됐다.

정부는 올해부터 사업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강화한다. 위원회는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일·가정양립', '교육·돌봄', '주거 및 임신·출산' 등 3대 분야에 걸친 저출생 대책 15대 핵심 지표를 도입했다. 이 지표와 연계해 직접사업 과제별 효과성을 분석하고, 목표 미달 과제는 재정당국과 협의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국민이 정책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철저한 이행과 관리에 집중할 것"이라며 "올해 수립해 내년부터 적용되는 제5차 기본계획(2026~2030)은 기존의 합계출산율 중심 평가방식을 넘어 건강수명 연장, 노인빈곤·자살률 감소 등 인구구조 전반의 질적 지표로 평가 체계를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