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 6월 고용 '깜짝 증가'…물 건너간 7월 금리 인하(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美 노동부 집계 비농업 고용 14.7만건 ↑
전망치 상회…실업률도 4.2%→4.1%
7월 금리 인하 기대 후퇴…동결 가능성 93%
"공공이 주도…8개월來 최저 민간고용은 위축"

지난달 미국의 고용이 예상 밖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하락했다. 공격적인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에도 노동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7월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물 건너갔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게티이미지연합뉴스

게티이미지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올해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14만7000건 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블룸버그 전망치인 10만6000건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자 지난 5월 수치(14만4000건)도 상회한다. 5월 비농업 고용 증가 규모는 당초 13만9000건에서 14만4000건으로 상향됐다.


부문별로 보면 주(州)정부 고용이 4만7000건 증가했는데 이 중 교육(4만건) 부문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의료(3만9000건), 사회 복지(1만9000건) 부문에서도 고용이 늘었다.


실업률은 지난 5월 4.2%에서 6월 4.1%로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지난달 실업률이 4.3%로 소폭 상승하며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예상을 깨고 오히려 0.1%포인트 하락했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이는 전망치(0.3%)를 상회했지만 지난 5월 수치(0.4%)보다는 낮았다.


지난달 고용의 예상 밖 증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에도 노동시장이 여전히 탄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전날 부진한 고용 지표 발표 후 하루 만에 나온 것이어서 더욱 눈길을 끈다. 민간 노동시장 조사업체 ADP가 집계한 6월 민간 부문 신규 일자리 고용은 3만3000건 감소해 고용 위축 우려를 키웠다. 하지만 민간뿐 아니라 공공 부문까지 포함한 노동부의 비농업 고용 지표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완화됐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예상보다 적었다. 노동부가 이날 함께 공개한 지난주(6월22~2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3만3000건으로 시장 전망치(24만건)를 소폭 밑돌았다. 지난 5월 중순 이후 6주 만에 최저 수준이다. 다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196만4000건으로 집계됐다.


깜짝 고용 지표 발표 후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7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시장의 기대감은 빠르게 식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고용 보고서 발표 직후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6.7%로, 전날 23.8%에서 급락했다. 금리 동결 가능성이 93.3%에 이른다. Fed가 오는 9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도 전날 6.3%에서 이날 29.7%까지 치솟았다.


국채 시장도 즉각 반응했다. 금리 인하 전망이 후퇴하면서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보다 3bp(1bp=0.01%포인트) 오른 4.32%,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8bp 뛴 3.87%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웰스파고 투자연구소의 사미르 사마나 선임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노동시장은 여전히 견고한 기반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 데이터가 Fed의 관망 기조를 강화하면서 7월에는 금리 인하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민간 부문 고용이 위축되고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달 고용 증가 배경에는 공공 교육 부문이 자리하고 있는데, 민간 고용은 7만4000건 증가에 그쳐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의 새뮤얼 톰스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교육 일자리 증가는 무시하고, 민간 부문의 노동 수요가 둔화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관세 인상, 제약적인 통화정책, 무역전쟁 추가 악화에 대한 우려가 노동 수요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