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까지 멕시코 공장 후보지 물색
트럼프 취임 후 자동차 관세 발표
BYD "지정학적 이슈 자동차 산업에 영향"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BYD)가 자동차 관세 등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멕시코 공장 건설 계획을 보류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브라질 카마사리에 있는 BYD 전기차 공장 오픈 기념식에 참석한 스텔라 리 BYD 부사장은 "미주 지역 확장에 여전히 관심이 있지만 새로운 투자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리 부사장은 "지정학적 이슈들이 자동차 산업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지금은 모두가 다른 국가들에서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다. 우리는 결정을 내리기 전에 상황이 더 명확해지기를 기다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앞서 블룸버그는 BYD가 멕시코 공장 건설을 위해 세 곳을 후보지로 점찍었으며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기다리며 부지 탐색을 멈춘 상태였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후 올 3월 중국 상무부가 기술 노출을 우려해 BYD의 멕시코 공장 투자 승인을 미뤘다는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지난 3월 BYD가 공식적으로 투자를 제안한 바 없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를 고려해 제너럴모터스(GM)는 최근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하던 픽업트럭과 SUV 일부 모델의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다.
리 부사장은 "글로벌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생산거점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은 유지하되, 언제 어떻게 결정할지는 아직 미정"이라고 했다.
인터뷰가 이뤄진 카마사리 공장은 연간 15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BYD는 약 2년 안에 생산 능력을 연간 30만 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