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박경혜 빛고을전남대병원 간호사, 손에 묻지 않는 면봉 '특허'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감염 위험 줄인 디자인 구조
의료진 간 전달시 불편 해소

박경혜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간호사.

박경혜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간호사.

AD
원본보기 아이콘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은 외래간호팀 박경혜 간호사가 '손에 묻지 않는 포비돈 면봉(Povidone iodine cotton swab)'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5월 12일 디자인 특허를 등록했다고 3일 밝혔다. 이 발명은 기존 일회용 소독(포비돈) 면봉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위생성과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했다.


일반적인 상처 소독 과정에서는 소독약과 면봉을 각각 준비해야 하며, 소독약은 개봉 후 위생 문제로 폐기된다. 최근에는 소독약이 스며든 일회용 면봉이 활용되지만, 개봉 시 손에 약액이 묻거나 주변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박 간호사는 이 같은 현장의 불편을 착안해 소독액이 묻어있는 일회용 면봉을 개봉할 때 소독액이 손에 묻지 않도록 ▲약액 수용부와 손잡이를 분리한 포장 구조 ▲이지컷(easy cut) 라인을 포함한 개봉 편의성 등을 고안했다. 감염 위험을 줄이고, 의료진 간 전달 시 번거로움도 해소한 것이다.


이번 특허는 박 간호사 아이디어와 더불어 전남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이 진행하는 '바이오헬스 임상 현장 연계 기술사업화 플랫폼 지원사업(사업책임자 허 환 기술산업화 부장)'의 일환인 '찾아가는 지식재산권 컨설팅 지원'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 사업은 보건의료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추상적인 아이디어부터 구체적인 발명 기획까지 1:1 맞춤형 컨설팅과 변리사 상담을 지원하는 제도다. 박 간호사는 이 과정을 통해 전문가의 조언과 실무 지원을 받아 보다 수월하게 특허를 출원하고 등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박 간호사는 단순한 아이디어 제안자에 머물지 않고, 꾸준한 연구 활동을 병행해온 공부하는 간호사다. 그는 지난 2016~2024년까지 SCI(E)급 국제학술지 논문 6편과 KCI 등재지 논문 2편 등 8편의 연구논문을 게재하며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꾸준히 쌓아왔다.

기승정 전남대병원 의생명연구원장은 "의료현장의 미충족 필요를 창의적으로 해결한 매우 모범적인 사례다"며 "앞으로도 직무발명을 장려하는 환경을 조성해 의료현장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성과가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 간호사는 "수술이나 시술 중 소독 면봉을 의료진끼리 전달할 때 소독액이 손잡이에 묻어 있어 불편했고, 감염 위험도 있어 늘 조심스러웠다"며 "작은 불편이지만 반복되니 개선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병원과 연구지원 제도가 없었다면 특허 등록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