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노조, 조합원수 3만명 깨져
3일 10시 기준 2만9944명
지난해 7월 총파업 후 1년만
임단협서 집행부 '이면 합의' 논란 등 여파
비대위 체제 전환…대표 교섭 지위는 계속
임원 선거 앞당길듯…재정비에 만전
삼성전자 내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의 조합원 수가 3만명 아래로 내려앉았다. 현재 공석인 집행부와 조합원 수 감소 등 불안정한 노조 내부 사정이 영향을 미친 탓으로 풀이된다. 이런 흐름이면 올해 하반기 예정된 내년 임금 교섭에서 동력을 잃을 수 있어 체제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10시 기준 전삼노의 조합원 수는 2만9944명이다. 지난해 7월 총파업을 기점으로 3만명을 돌파한 후 약 1년 만에 3만명이 깨졌다.

지난해 7월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사흘간 총파업을 선언하고 경기도 화성 삼성전자화성사업장 정문앞에서 열린 총파업결의대회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전삼노는 지난해 7월 초 임금 인상률 상향, 유급휴가 약속 이행, 초과이익성과급(OPI) 기준 개선 등을 이유로 1967년 회사 창사 이래 처음으로 총파업에 나서면서 조합원 수를 빠르게 늘렸다.
하지만 지난 3월 체결한 평균 임금 인상률 5.1%(기본인상률 3.0%, 성과인상률 2.1%) 등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임금·단체협약에서 사측과 집행부의 이면 합의가 논란이 되면서 조합원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당시 임단협 체결 후 집행부가 사측과 별도 합의를 통해 상임집행부를 대상으로 성과인상률을 더 높게 책정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노조 내에서 내홍도 생겼다.
3월까지 3만6000명대였던 조합원 수는 약 4개월 사이 6000명 이상 급감했다. 책임을 통감한 3기 집행부는 임기 9개월가량을 남기고 전원 사임했고 전삼노는 비대위 체제로 전환했다. 다만 전삼노는 삼성전자 전체 직원(약 12만5000명) 23%를 차지하는 최대 노조로 대표 교섭 지위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노조는 공백인 집행부 자리를 채우는 등 내부 안정화 작업에 서두를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9월로 예정됐던 4기 신임 임원 선거도 이르면 7∼8월 중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