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소속 BIAC, 경제정책 조사
36개 회원국 경제단체들 응답
경영환경 '좋음' 응답, 전년보다 62% 급감
97% 이상 "무역장벽이 부정적 영향"
내년 투자전망도 부정적…OECD 역할 기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소속된 주요 선진국들의 민간 경제단체들은 올해 하반기에 세계 경제가 급격히 얼어붙을 것으로 내다봤다. OECD 회원국 다수가 우리나라와 교역하고 투자하고 있는 나라란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이런 위축된 심리와 전망은 우리 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3일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OECD 경제산업자문위원회(BIAC)가 최근 회원국의 경제단체를 대상으로 '2025 경제정책 조사'를 실시한 뒤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BIAC에는 우리 한경협 등 총 45개국 경제단체가 속해 있고 이번 조사에는 그중 36개 회원국 경제단체가 응답에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경제단체들은 올해 하반기 경영환경이 전년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가을 조사에서는 경영환경을 '좋음(Good)'으로 평가한 비율이 78%에 달했으나 올해는 16%로 무려 62%포인트나 급감했다. 응답국 중 60%는 최근 무역정책 변화로 인해 자국 국내총생산(GDP)의 0.5%포인트 이상에 이르는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고 37%는 GDP의 0.25%포인트 이상의 감소를 전망했다.
특히 전체 응답국의 97% 이상은 무역장벽이 자국 경제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답했다. 이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이어지고 있는 미국 정부의 관세정책, 무역협정 재검토 등에 따라 국제 통상질서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기업들의 투자 전망에서도 드러났다. 지난해 조사 당시 응답한 OECD 회원국 중 76%가 내년 투자전망을 '완만히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19%로 대폭 하락했다. 투자가 '완만히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70%로, 기업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국 중 55%는 인플레이션이 지난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해 물가 압력이 다시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BIAC는 "지속되는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무역장벽이 세계경제 전반에 구조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는 "기업들의 체감경기와 투자심리를 급속히 위축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활동을 제약하는 요인에 대해선 지정학적 불확실성(86%)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무역·투자 장벽(66%), 공급망 혼란(43%), 에너지 가격(24%), 노동시장 불균형(21%) 등이 뒤를 이었다. 노동 등 규제·행정 부담(18%), 조세부담(16%)에 대한 우려도 여전히 높았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OECD의 정책 우선순위 분야(복수응답)로는 국제무역(93%), 디지털 정책(58%), 기후·에너지 정책 공조(53%) 등을 꼽은 응답이 많았다. 특히 '국제무역' 응답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건 각국이 글로벌 통상질서 회복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BIAC은 이번 조사에 대해 "글로벌 기업들은 무역장벽 확대와 지정학 갈등 속에서 더 이상 자국 정책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OECD가 무역질서 회복과 디지털 규범 조율을 이끌어가는 다자협력의 핵심축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과 보호무역주의 확산,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및 최근 이란·이스라엘을 둘러싼 중동지역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더해지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며 "내수 회복세도 제한적인 가운데, 지금이 대외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면밀한 대응을 위해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