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양도 간주해 처분한 소득세는 위법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당사자 사이에 '양도한다'는 의사가 있는지를 불문하고, 과세 관청이 양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양도소득세를 부과한 것은 조세법률주의에 반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서울고법 행정9-3부(재판장 김형배 김무신 김동완 고법판사)는 5월 8일 A씨가 서울 반포세무서장을 상대로 낸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2024누46196)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패소한 반포세무서가 상고하지 않아, 이 판결은 5월 31일 그대로 확정됐다.


[사실관계]

A씨는 1995년 3월 사망한 B씨의 자녀로, 2004년경 B씨의 장남인 C씨를 상대로 상속권 회복 및 유류분 반환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당시 판결에서는 C씨가 A씨 등에게 서울 종로구 부동산 등 일부 지분에 대해 소유권 이전 등기 절차를 이행하고, 원물 반환이 불가능한 나머지 부동산에 대해선 가액으로 반환하라고 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픽사베이.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C씨는 A씨 등 유류분 권리자들에게 판결에서 확정된 사항을 이행하지 않았다. 다른 유류분 권리자인 D씨는 C씨 명의로 된 부동산에 대해 강제 경매를 신청했다. 이를 통해 A씨는 매각 대금 중 민사 확정 판결상 원금 4억4000여 만 원 등을 배당받았다.

반포세무서는 A씨 등이 C씨를 상대로 유류분 반환을 청구했을 때 이미 제3자들에게 매도돼 원물 반환이 불가능하게 된 가액 반환 대상 부동산 중 A씨의 유류분에 상당하는 지분을 A씨가 상속 개시일에 취득했다가 강제 경매 과정에서 배당이 이뤄진 2014년 6월에 양도한 것으로 보고, A씨가 배당받은 원금 4억4000여만 원을 양도가액으로 산정해 A 씨에게 양도소득세 1억5000여만 원을 부과했다.


이에 불복한 A씨는 "해당 금원은 원물 반환이 불가능함에 따라 가액 반환을 받은 것으로 애당초 양도소득세의 과세 대상으로 볼 수 없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A씨는 "C씨는 상속 재산에 포함된 해당 부동산을 관련 판결이 나오기 훨씬 이전에 제3자에게 양도했는 바, 가액 반환 대상 부동산의 양도에 대해서는 C씨만을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1심 판단]

1심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1심 재판부는 "반포세무서의 부과 처분은 A씨가 4억4000여 만 원을 배당받은 것이 세법상 '양도'에 해당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나, '양도'로 삼을 만한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며 "A씨는 단지 자신이 침해당한 유류분의 반환을 구할 권리를 C 씨를 상대로 행사했을 뿐이고, 관련 민사 판결을 통해 A 씨에게 응당 속했어야 할 몫을 원물이 아닌 가액 반환의 방식으로 돌려받기로 정해졌으며 그에 따라 이 사건 금원을 경매 절차에서 배당받았던 것"이라고 밝혔다.

[항소심 판단]

항소심 재판부도 반포세무서의 부과 처분은 위법해 취소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항소심은 반포세무서의 부과 처분이 이중 부과에 해당한다고 봤다. 재판부는 "이 사건 금원 4억4000여 만 원의 양도 시기는 C 씨가 가액 반환 대상 부동산을 제3자에게 양도한 1996년 5월 또는 2001년 3월이라 할 것이고, 이에 대해 과세 관청은 이미 C 씨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을 것"이라며 "따라서 이중 부과의 위법이 존재해 무효"라고 밝혔다. 이어 "당사자 사이에 양도의 의사가 있는지를 불문하고 자산 이전 및 그에 상응하는 금원의 취득이라는 결과만을 가지고 곧바로 금원을 취득한 자가 해당 자산을 양도한 것이라고 의제한다는 등의 소득세법상 규정은 찾아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한수현 법률신문 기자


※이 기사는 법률신문에서 제공받은 콘텐츠로 작성되었습니다.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