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2025 인구보고서
"2125년엔 한국 인구 753만명될수도"
현재의 인구 감소 경향이 이어지면 100년 후 대한민국 인구는 지금의 15% 수준으로 줄어들고, 2100년에는 생산연령 인구 100명이 140명의 노인을 부양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2일 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향후 100년간(2025~2125)의 인구 변화를 코호트 요인법으로 분석해 제시했다. 코호트 요인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구 추계 방식으로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인구변동 요인별 미래 수준을 예측한 후 이를 기준 인구에 더하고 빼서 미래 인구를 산출한다.
보고서는 2125년 우리나라 인구는 가장 극단적인 저위 시나리오에서 현재(5168만명)의 14.6% 수준인 753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중위 1115만명, 가장 낙관적인 고위 시나리오에서도 현재의 3분의 1 이하인 1573만명에 그친다.
인구 감소세는 점점 더 빨라지며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075년까지 인구가 30% 정도 줄어들었다가 이후 2125년까지 절반 이상 급감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출산할 수 있는 인구가 줄어들면서 인구 감소 속도에 가속이 붙는 영향이다.
이 결과 2075년의 '가오리형' 인구 구조는 2125년경에는 연령대 전반에 걸쳐 인구가 적은 '코브라형'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인구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엔 생산연령(15~64세) 인구 100명이 65세 이상 노인 140명(저위 시나리오 기준)을 부양해야 한다. 현재는 약 100명의 생산연령 인구가 30명의 노인을 부양하고 있지만, 앞으로 노인 인구가 계속 늘면서 결국 부양자보다 부양받는 사람이 더 많은 '역피라미드형' 사회가 되는 것이다.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 출산·양육 부담 경감을 위한 획기적 지원 확대 ▲ 일·가정 양립 문화의 실질적 정착 ▲ 정년 연장과 계속 고용제도 확산 ▲ 이민정책 개편 등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