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회의 개최로 도민 의견을 도정에 반영 중인 경상남도가 도민이 경남도 정책 수립에 직접 참여하는 '도민총회' 도입을 공식 검토한다.
박완수 도지사는 1일 확대간부회의에서 "도정은 공무원이 아니라 도민이 주도해야 한다"라며 "복지, 문화예술, 교육 등 주요 정책을 놓고 도민 모두가 직접 토론하고 제안하는 도민총회를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박 지사는 "관련 분야의 모든 주체가 한자리에 모여 도정 방향과 예산 편성까지 함께 논의하는 구조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화예술 도민총회, 복지 도민총회 같은 형식으로 연 1~2회 정례화할 수 있다"며 도 기획조정실에 구체적 운영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또한 "의회, 기관단체장,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은 제한적일 수 있다"며 "진짜 도민 목소리를 정책에 담으려면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경남도는 도민의 정책 제안과 개선 요청을 직접 받아 도정에 반영하고자 2024년 1월 30일부터 매월 마지막 주 월요일에 '도민회의'를 열고 있다.
이 자리에서 제안된 정책이나 건의는 도지사와 각 부서 관계자가 직접 검토해 정책에 반영하고 조치 계획을 제안자에게 전달한다.
이날 박 지사는 올여름 불볕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자와 취약계층 피해를 막기 위한 실질적 대책 시급성도 언급했다.
그는 "유럽은 이미 40~47도까지 기온이 오르고 있고 대한민국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라며 "단순한 매뉴얼 수준을 넘어 어르신, 거동 불편자, 노후 주거지 거주자에 대한 실질적 보호 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또 회의 전날 기자간담회에 이어 해양수산부를 부산시 강서구와 창원시 진해구에 걸쳐 있는 부산 신항으로 옮겨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박 지사는 "해양수산부뿐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대기업 본사까지 부산 신항 주변에 집적시켜야 한다"라며 "신항, 가덕신공항, 배후 산업단지를 연결한 트라이포트가 해운물류의 핵심 전진기지가 돼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남해안 중심 관광 인프라 확충, 리조트 투자 유치 중요성, 인공지능(AI) 산업 인프라 확보 등도 강조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