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 현지 인터뷰서 발언
러시아, 북한 인력들 재교육 중
러시아·북한 군사협력 심화 신호
북한이 러시아에서 받은 방공 무기체계 '판치르 S-1'을 이미 평양 방어에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크라이나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1일(현지시간)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이 현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판치르는 러시아가 개발한 대표적인 방공무기로 레이더 체계를 토대로 지대공 유도미사일, 대공포 등을 갖췄다.
부다노우 국장은 "첫 번째 판치르는 이미 평양에 설치돼 수도 방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북한 인력들을 재교육하고 있고, 곧 북한이 기술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북한의 판치르 도입은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적 협력이 심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짚었다.
부다노우 국장은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을 통해 군사력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러시아를 돕기 위해 우크라이나전에 파병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무기체계와 군사기술을 지원받는 데다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실전 경험도 쌓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북한에 첨단 전자전 체계를 제공하고 최신 군함 건조를 지원하는 한편, 단거리 탄도미사일 KN-23 개량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병력 지원이 직접 파병과 같은 기존 방식과 다른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부다노우 국장은 양국의 협력 속에 러시아 내 북한 주민 수가 "매우 증가할 것"이라며 이들 중 일부가 러시아군에 자원입대하는 형식을 취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이 공식 파병 대신 시민 개개인의 자원입대 형식으로 러시아에 병력을 지원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맺어 양국관계를 안보동맹 수준으로 격상하고 우크라이나전에 병력을 지원했다. 북한은 지난달에도 공병 병력과 군사 건설 인력 총 6000명을 추가로 보내기로 한 바 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