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진, 김포 전기차 충전소 개소…친환경 물류 전환 가속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전기차 인프라 확장 지속…넷-제로 실현
전기택배차 늘리고 태양광발전 사업 박차

한진이 전국 주요 사업장에 전기차 충전소를 추가하며, 국내 전기차 인프라 확충과 친환경 물류 전환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한진 김포 전기차 충전소 전경. 한진 제공

한진 김포 전기차 충전소 전경. 한진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진은 김포공항 인근에 보유한 주유소를 전기차 충전소로 변경해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신규 충전소에서는 100~200㎾ 급속 충전이 가능하다. 운전자 편의를 위한 무인카페, 라운지 등 휴게공간과 자동 세차기, 셀프 세차를 위한 간이 청소기 등을 갖췄다. 또 충전 구역 내 열화상 폐쇄회로(CC)TV와 더불어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조, 소화포, 소화기 등 화재 진압 시스템을 완비했다.

한진은 이번 김포 충전소를 포함해 전국 주요 사업장에 전기차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 인프라 확산에 기여하고 친환경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특히 전기차 충전 수요가 높은 택배 터미널을 중심으로 확대 중이다. 2022년 서울 구로·강서, 광주, 제주 등 4개 터미널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한 데 이어 지난해부터는 부산, 진주 등 총 10개 택배 허브에 전기차 충전소를 추가했다. 이번에 개소한 김포 충전소는 외부에 위치해 기존 사업장 내 충전소보다 일반 차량의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친환경 물류 전환에도 힘쓰고 있다. 한진은 현재 약 500대의 친환경 차량을 보유 중이며, 매년 비율을 높여가고 있다. 한진은 2022년 전체 구매 차량 중 59%, 2023년에는 73%의 비율로 친환경 차량을 구매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우수하게 이행한 결과로 2024년에는 '한국에너지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해 자가 전력을 생산·판매하는 친환경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2023년부터 원주와 진주에 각각 연간 약 65㎿h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남부산 택배 터미널에 자가 소비형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했다. 이 발전기는 연간 약 52㎿h의 전기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있다. 올해도 대전 허브 터미널, 인천공항 GDC, 영남지점 포항창고에 신규 태양광 발전기를 준공해 연간 약 354㎿h의 전기를 대체할 계획이다.

한진 관계자는 "한진은 넷-제로(Net-Zero)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하에 탄소 배출과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며 "글로벌 물류기업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