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 완화의료 사례 및 사전돌봄계획 경험 공유
서울대병원이 오는 1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어린이병원에서 '삶의 마지막을 함께 준비하는 돌봄-재택의료와 완화의료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재택의료는 병원이 아닌 환자가 살고 있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의료 서비스다. 완화의료는 생애 말기 환자의 고통을 덜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치료 접근이다. 두 분야는 환자가 자기 삶의 공간에서 존엄하게 마지막 여정을 준비할 수 있도록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재택의료와 완화의료의 협력 지점에 주목해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와 공공진료센터 합동 주관으로 진행되며, 집에서의 편안한 임종을 가능케 하는 재가(在家)임종과 사전돌봄계획의 실제 적용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1부에서는 '재가임종: 병원에서 집까지의 여정' 주제로 ▲대만 가정형 완화의료의 경험 ▲국내 병원 기반 재택의료와 재가 임종의 실천 ▲지역사회에서의 재택의료와 재가 임종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실천된 재택 완화의료 사례가 발표된다.
2부에서는 '루게릭병 환자의 집과 병원 사이 여정 함께 걷기: 사전돌봄계획' 주제로 ▲루게릭병의 경과에 따른 중대한 의사결정의 순간들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사전돌봄계획 발표가 진행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실제 사례로 패널토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조비룡 공공진료센터장은 "병원이 아닌 삶의 공간에서 환자와 가족이 치료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임상의와 지역사회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번 심포지엄의 중요한 목표"라며 "특히 공공의료의 관점에서 재택 기반 돌봄을 어떻게 확장하고 제도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범석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장은 "루게릭병처럼 병의 경과에 따라 의사소통이 점차 어려워지는 환자의 경우, 사전돌봄계획을 통해 환자의 의사를 조기에 확인하고 존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심포지엄으로 완화의료와 재택의료가 협력함으로써, 생애 말기 환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임종을 준비할 수 있는 돌봄 체계를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