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인상에 나섰다. 정부가 가계대출 억제 정책을 발표하자 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 문턱을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금리가 5년 간격으로 바뀌는 주기형 주담대 금리를 연 3.57~4.77%로 결정했다. 하루 전인 지난달 30일(연 3.51~4.71%)과 비교해 0.06%포인트 높다. 지표금리가 하락했지만 가산금리를 올려 주담대 금리를 인상했다.
신한은행은 신잔액 코픽스(COFIX)에 연동돼 금리가 6개월마다 바뀌는 변동금리형 주담대 금리를 같은 기간 연 3.54~4.95%에서 연 3.62~5.03%로 인상했다. 하나은행도 가산금리 인상으로 주담대 대환대출 상품의 최저금리를 연 3.73%에서 연 3.83%로 0.1%포인트 올렸다.
주요 은행이 연쇄적으로 대출 금리 인상에 나선 것은 정부 지침에 따라 신규 주담대 신청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로 풀이된다. 정부는 개인별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지난주 발표하며 가계대출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