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일일 나트륨 섭취량 3136㎎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섭취
당류는 WHO 권고기준 이내

국민 대부분 하루 평균 섭취하는 나트륨의 50% 이상을 주로 면·만두류, 김치류, 국·탕류, 볶음류, 찌개·전골류 등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에 비해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의 경우 권고기준 이내를 유지하고 있으나 청소년 등 일부 연령층에서는 권고기준보다 초과 섭취했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바탕으로 2019년~2023년 5년간 우리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실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136㎎으로 나타났다. 나트륨·당류는 인체에 필요한 영양성분이지만 과잉 섭취할 경우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식약처는 2012년부터 나트륨·당류 저감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저감정책 이전인 2011년 4789㎎과 비교했을 때 34.5%(1653㎎) 낮은 수준이었으며 2019년 3289㎎에 비해 약 4.7%(1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결과는 WHO 권고기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1.6배 높은 수준이다.
성별로는 남자(3696㎎)가 여자(2576㎎)보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했고, 가장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연령은 30~40대로 하루 평균 3389㎎(소금으로 환산 시 8.5g)을 섭취했다.
우리 국민은 하루 평균 섭취하는 나트륨의 50% 이상을 주로 면·만두류, 김치류, 국·탕류, 볶음류, 찌개·전골류 등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에서 조리한 밥, 국, 반찬으로 한 끼를 섭취할 때 노출되는 나트륨의 양에 비해 치킨, 피자, 음료 등 음식점에서 한 끼에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하루 평균 당류는 2019년 36.8g, 2023년 35.5g으로 5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하루 총열량의 7.6%, 7.7%를 차지하고 있어 WHO 권고기준 이내다.

가정에서 조리한 밥, 국, 반찬으로 한 끼를 섭취할 때 노출되는 나트륨의 양에 비해 치킨, 피자, 음료 등 음식점에서 한 끼에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다만 2023년 여자 어린이·청소년·청년의 당류 섭취량은 42.1~46.6g으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일 총열량의 10%를 초과해 섭취하고 있었다.
여자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 당류를 많이 섭취하는 이유는 탄산음료류 외에도 당함량이 높은 빵류, 과일·채소음료(가당), 아이스크림류 등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 국민은 하루 평균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당류의 47%를 주로 음료(11.4g), 과자·빵·떡류(5.4g)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에 비해 최근 제로 음료 유행에 따라 음료류로 섭취하는 당류는 9.5% 감소하고 과자·빵·떡류로는 3.8% 증가했다.
식약처는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 탄산음료보다 물을 마시고 간식으로 과자나 빵 대신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가공식품을 구매할 때는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여 당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식품을 구매하는 등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