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석유 악화… 신사업 진출
3200억은 EB 발행 조달 논란
이호진 전 회장 복귀 해석도
태광산업이 에너지·부동산개발·블록체인 등 신사업 진출을 선언하면서 1조5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계획을 1일 발표했다. 주력 산업인 석유화학과 섬유 업황이 극도로 악화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사업구조 재편이 필수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태광산업은 전체 투자금액 가운데 3200억원을 자사주 기반의 교환사채(EB) 발행을 통해 조달키로 했다. 자사주 소각 회피 의혹에도 불구하고 '생존이 우선'이라는 방침으로 정면돌파 하는 모양새다.
태광산업은 ▲화장품 제조·판매 ▲에너지 관련 사업 ▲부동산 개발 ▲호텔·리조트 등 숙박시설 개발·운영 ▲리츠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투자 ▲블록체인 기반 금융 연관 산업 등을 포함한 정관 변경안을 마련하고 오는 31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의결할 방침이다. 회사 측은 "석유화학과 섬유 등 기존 주력 사업의 구조적 침체로 전면적인 체질 개선 없이는 생존이 어렵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태광산업은 총 투자액 1조5000억원 가운데 약 1조원을 올해 집행할 계획이다. 주요 투자 분야는 뷰티, 신재생에너지, 부동산개발 등이다. 뷰티 분야는 이미 투자 자회사를 통해 애경산업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인수전 최종 후보자 명단에 포함된 상태다.
투자 자금은 대부분 외부 재원에 의존할 것으로 보인다. 태광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약 1조9000억원에 이르지만 기존 석유화학 및 섬유 부문에 5000억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업황 악화에 대비해 3.5개월 치 예비운영자금 5600억원도 보유해야 한다. 석유화학 2공장과 저융점섬유(LMF) 공장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시설 철거와 인력 재배치에도 상당한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신사업에 투입할 수 있는 여유 자금은 1조원 미만으로 추산된다.
태광산업은 부족한 투자 자금을 메우기 위해 지난달 말 이사회를 열고 약 320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 발행을 결의했다. 교환사채는 보유 중인 자사주 27만1769주(전체 주식의 24.4%)를 기반으로 한다. 태광산업은 다음 달 교환사채를 발행해 조달하는 자금을 사업구조 재편에 투입할 예정이다.
다만 시장에선 이번 교환사채 발행이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적인 반응도 나온다. 회사 관계자는 "현 정부의 정책을 반영해 자사주를 소각하고 이를 통해 주식가치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적극적인 투자와 사업재편을 통해 생존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교환사채 발행을 통한 투자자금 확보는 회사의 존립과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이번 자금 조달과 신사업 전환이 최대주주 이호진 전 회장의 경영 복귀 가능성과도 맞물려 있다는 해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현재 이 전 회장은 태광산업 지분 약 30%를 보유하고 있다. 다만 회사 측은 "이 전 회장은 현재 미등기 임원으로 자문 역할만 수행 중"이라며 "이번 교환사채 발행과 사업 전략을 직접 지시하거나 진두지휘하진 않았다"고 밝혔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