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법무부, 16개주서 29곳 노트북 공장 수색
미국인 신원 80여개 도용, 100개 기업 취업
가상자산 탈취 4명 수배령 내려
미 당국이 북한 IT 인력들이 외화벌이를 위해 미국 기업에 원격 취업하는 데 활용된 '노트북 농장'(laptop farm) 29곳을 적발했다고 AP통신 등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P통신과 폴리티코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관련 기관들의 공조로 미 16개 주에서 29곳의 노트북 농장을 수색해 불법 자금 세탁에 이용된 29개의 금융 계좌와 21개의 사기성 웹사이트를 동결시켰다. 범행 현장에서 압수한 노트북은 약 200대에 달한다.
노트북 농장은 훔치거나 위조한 미국인 신분증을 이용해 북한 노동자들을 미국 기업의 IT 일자리에 취업시킨 뒤 이들이 원격으로 미국 내에 있는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해 해당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미 법무부는 이번 기소 사건에 관련된 북한 노동자들이 2021년께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미국과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대만에 있는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미국인 신원 80여개를 이용해 100개 이상의 미국 기업에 취업했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에는 '포천 500대 기업'에 포함된 기업들도 있었다.
피해 기업들의 손해액 합계는 법률 비용과 컴퓨터 네트워크 복구 비용 등을 포함해 최소 300만달러(약 40억6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 사례 중에는 미국 기업에 원격 고용된 북한 노동자들 일부는 캘리포니아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방산 관련 업체에서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이 적용되는 민감한 정보에 접근한 경우도 있었다.
조지아주 북부 검찰청은 이날 원격 취업을 통해 회사가 소유한 가상자산을 탈취한 혐의 등으로 북한 국적자 4명을 기소하고 이들에 대한 수배령을 내렸다고 전했다.
존 아이젠버그 미 법무부 국가안보담당 차관보는 AP통신에 "이러한 계획은 미국 기업을 표적 삼아 자금을 탈취하고, 제재를 회피하며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