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뉴욕증시]美·加 관세 협상 재개에 S&P·나스닥 또 최고치…무역합의 낙관론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S&P·나스닥, 이틀째 역대 최고가 돌파
캐나다, 디지털세 철회로 美와 무역협상 재개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만료 앞두고 압박 강화
관세 유예 만료 전 추가 협상 타결 기대도
감세안 처리도 주목…고용지표 대거 발표 예정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세로 마감했다. 오는 8일까지인 상호관세 유예 만료 이전에 미국과 주요 교역국의 무역 협상이 진전을 보일 것이란 낙관론에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6월 마지막 거래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5.5포인트(0.63%) 상승한 4만4094.77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1.88포인트(0.52%) 오른 6204.9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6.27포인트(0.47%) 상승한 2만369.73에 거래를 마쳐 두 지수 모두 전 거래일에 이어 이틀 연속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투자자들이 다음 달 8일까지인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 만료를 앞두고 주요 무역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면서 지수 상승으로 이어졌다. 특히 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비판 이틀 만인 지난달 29일 국내외 IT 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세 부과 계획을 철회,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재개하면서 안도감이 확산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캐나다의 디지털세 부과 방침이 미국 기업들을 겨냥한 비관세 무역장벽이라고 반발, 무역 협상 중단 및 일주일 내 관세 통보를 경고한 바 있다. 전날 디지털세 부과 계획 철회로 캐나다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앞으로 3주의 시간을 더 확보하게 됐다. 이는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지난달 16~17일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30일 안에 새로운 무역 협상 타결을 완료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조치 만료가 임박하면서 교역국을 상대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이 얼마나 다른 나라들을 버릇없게 만들었는지를 보여주려 한다"며 "난 일본을 존중하지만, 그들은 대규모 쌀 부족을 겪으면서도 우리 쌀을 수입하려 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다시 말해 우리는 그들에게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년간 그들을 무역 파트너로 삼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일본에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촉구하고 조속한 협상 타결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공개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도 상호관세 유예 조치 연장에 부정적인 입장을 확인했다. 그는 유예 연장은 "필요 없을 것 같다"며 "우리가 할 일은 오는 9일 이전에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율에 대해선 "25%, 35%, 50% 또는 10%"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등 참모진도 오는 8일 이후 교역국들이 상호관세를 부과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초 상호관세를 발효하면서 기본관세 10%를 제외한 국가별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바 있다. 미국은 이 유예 기간 안에 주요 교역국들과 무역 협상 타결을 목표로 협의를 진행해왔다. 이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전날 미국이 대만,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과 무역 협상 합의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티인덱스앤드포렉스닷컴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시장 분석가는 "무역 협상의 진전이 금융시장의 최대 촉매제가 될 수 있다"며 "중동 이슈나 무역 전쟁에서 큰 긴장 고조가 발생하지 않는 한 주식시장이 거시경제 지표로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감세 공약을 담은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의 의회 통과 여부도 주목하고 있다. 미 상원은 이 법안과 관련해 이날 오전 9시 '보트-어-라마(Vote-a-Rama)' 절차에 착수했다. '표결 마라톤'으로 불리는 이 절차는 최종 표결까지 무제한으로 수정안을 제시하고 다시 표결에 부치는 절차다. 트럼프 대통령은 독립기념일인 7월4일까지 서명을 포함한 모든 절차를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다만 감세안이 재정적자를 확대할 것이란 우려로 공화당 내에서도 이탈표가 나올 수 있어 법안 통과를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시장에선 재정적자 우려를 키우는 감세안이 통과될 경우 미 경제의 중장기 신뢰도 하락으로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이번 주 발표가 예정된 주요 경제 지표로는 1일 노동부의 지난 5월 구인·이직 보고서(JOLTs), 2일 ADP의 6월 민간 고용 보고서, 오는 3일 노동부의 6월 고용 보고서가 있다. 시장은 고용 지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 등 경제 상황을 가늠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미 국채 금리는 약보합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2bp(1bp=0.01%포인트) 하락한 4.22%,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1bp 내린 3.73%를 기록 중이다.


종목별로는 모더나가 자사의 실험용 독감 백신이 후기 단계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발표한 뒤 1.58% 올랐다. 애플은 2.03% 뛰었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는 각각 0.3%, 0.15% 상승했다. 테슬라는 1.89% 약세를 나타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