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오 국무장관 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방한 조율
한미 정상회담 구체 일정 논의 가능성
'관세 협상' '국방비 증액' 논의 테이블 오를 듯
대통령실 "만남 필요하다는 교감 아래 일정 조율 중"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을 계기로 오는 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그간 있었던 다자회의에서 성사되지 못했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일정이 본격 조율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두 정상의 만남이 이르면 7월 말께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아직 정해진 일정이 없다면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지만 오는 8일로 유예 기간이 만료되는 미국의 상호관세를 두고 진전된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데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가들처럼 국방비를 증액하라는 요구에도 본격적으로 대응해야 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에 한미 간 현안의 시급성을 고려하면 한미 정상회담은 7월 말 또는 8월 초에 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는 형식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실리고 있다. 다만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기자들을 만나 "한미 정상회담의 경우 필요하다는 교감 아래 계속 (시기 등을) 조율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7월 말이라는 시기는 대통령실에서 밝힌 적 없는 날짜"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불과 약 2주 만인 지난달 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하면서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이란 문제로 조기 귀국하면서 불발됐다. 이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25일(현지시간)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는 인도·태평양 4개국(IP4) 자격으로 초청을 받았던 한국, 일본, 호주 정상이 모두 불참했다. 우리 쪽에서는 이 대통령 대신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대신 참석해 루비오 장관을 만났다. 이에 이번에 루비오 장관이 방한하면 카운터파트인 위 실장과 만나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할 가능성이 크다.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관세 협상과 국방비 증액이 논의 테이블에 오늘 전망이다.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계 유예기간은 오는 8일로 만료된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유예 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는 취지의 언급을 하기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폭스뉴스에 나와 유예기간 만료 전에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혀 불확실성이 커질 대로 커진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불균형이 심한 국가별로 25%, 35%, 50%의 관세를 부과하되 일부 국가에는 10%의 기본관세만 매길 방침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일정 중 관세 협상 문제와 관련해 기자들에게 "다른 국가보다 더 불리한 상황에 처하지 않는 것이 목표"라고 언급했다.
나토 국가를 중심으로 미국의 요구에 따라 국방비를 증액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미국은 나토 국가는 물론 아시아 동맹국에도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까지 국방비를 늘릴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5%는 직접 안보비용 '3.5%', 간접 안보비용(인프라·방위산업) '1.5%'를 합한 수치다. 더욱이 한국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까지 얽혀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강 대변인은 "(시기가) 어떤 방식이든 조율이 된다면 조율되는 결과에 대해 언론에 공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