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쟁과 경영]美 스텔스 폭격기에 무너진 이란의 드론 방공망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첨단 전투기 공세에 무용지물
한국형 스텔스기술 개발 지원해야

미국의 B-2 스텔스 폭격기와 F-22 스텔스 전투기의 합동훈련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B-2 스텔스 폭격기와 F-22 스텔스 전투기의 합동훈련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미군의 스텔스폭격기인 B-2 폭격기가 21일(현지시간) 이란 핵시설을 타격할 당시 이란의 방공망은 힘을 쓰지 못했다.


사실 미군이 작전 수행 중 가장 우려했던 부분은 이란의 무인기(드론)와 탄도미사일 반격이었다고 한다. 드론이 닿을 수 없는 높은 고도에서 단순히 폭탄을 투하하는 작전이 아니라 지하 핵시설을 파괴해야 하는 작전이라 낮은 고도에서 정밀타격을 해야 했다. B-2 폭격기가 레이더에는 잡히지 않는다고 해도 이란이 수만 대의 드론을 한꺼번에 띄워 방해 작전을 했다면 제대로 작전을 수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예상과 달리 반격이 없었던 것은 작전 수행 전 미 공군이 이스라엘 공군과 함께 이란의 드론, 탄도미사일 생산 및 보관시설을 F-35 스텔스 전투기를 동원해 사전에 모두 파괴했기 때문이다.


이란은 전투 초반만 해도 드론과 탄도미사일을 뒤섞어 연달아 발사하는 일명 '섞어쏘기' 작전으로 이스라엘의 아이언돔(Iron Dome) 방공망을 뚫기도 했지만, 정작 자국은 지키지 못했다. 주로 방공망 체계를 드론과 탄도미사일을 중심으로 설계했던 이란군은 크게 당황했다.


이란군 안팎에서는 러시아로부터 주문했던 수호이(Su)-35 전투기라도 제때 인도됐다면 이렇게까지 속수무책으로 당하진 않았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란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에 드론과 재래식 무기를 지원해주는 대가로 지난해 10월부터 Su-35 전투기 50대를 인도받기로 했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초부터 초도물량이 인도돼야 했지만, 러시아측이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를 이유로 전투기 인도를 미루면서 한대도 받지 못한 상태다.

이로 인해 이란은 이번 미군과의 교전에서 1974년 도입했던 구형 F-14 전투기를 주력으로 싸워야 했다. 이 전투기는 1979년 이란 혁명 직전 친미 정권이던 팔레비 왕조가 미국에서 수입했던 전투기다. 40년이 넘은 구형 전투기로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첨단 스텔스기인 F-35 전투기나 B-2 폭격기를 요격은 커녕 탐지조차 못 했다.


결국 이번 미군의 공습은 한 나라의 방공망체계를 갖추는 데 있어서 여전히 전투기 전력이 매우 중요하며, 드론과 탄도미사일 중심의 체계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최소한의 영공 수호를 하려면 적어도 최근 개발된 4세대 이상 전투기는 주력 전투기로 보유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 셈이다. 이란 정부도 이를 절감한 듯 휴전 직후 중국과 접촉해 중국의 4세대 전투기인 J-10C 대량 도입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란뿐만 아니라 전 세계 전투기 시장은 들썩이고 있다. 미군의 이란 폭격을 눈앞에서 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이 앞다퉈 스텔스 전투기를 도입하려 하면서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독일, 스페인이 'FCAS'라는 스텔스 전투기를 개발 중이다. 또 영국, 이탈리아, 일본이 스텔스 전투기 '템페스트'를 협력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KF-21 보라매도 스텔스 전투기 경쟁대열에 뛰어들었다. 2030년대까지 한국형 스텔스 기술을 완성하고 2040년대에는 무인전투기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안보 환경이나 방산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스텔스 기술 보유가 방산시장의 화두가 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한국형 스텔스 기술 개발에 보다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