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뉴스 인터뷰
"관세 유예 연장 필요없다…9일 이전 발송"
일본 거론하며 "車관세 25% 부과"
관세율 "25%·35%·50% 또는 1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 달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과 관련해 "우리가 할 일은 9일 이전에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는 것"이라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그는 교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10~50%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한 질문에 "필요 없을 것 같다. 연장할 수도 있고, 큰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효 직후 90일간 유예했다. 이후 각 교역 상대방과 무역협상을 벌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을 예로 들면서 "곧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무역협상은 이걸로 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하지 않는 대신 미국은 일본 차 수백만 대를 수입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것은 불공평하다"며 "우리는 대일 무역적자가 크고, 그들은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25%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과 일본이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받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수입산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다른 국가들이 미국 에너지 등을 수입해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다면서도 10~50%의 관세율 부과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할 일은 서한을 보내고 '축하한다.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각국의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해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지만, 일부 국가에는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이 평화를 이룬다면 제재를 해제할 것이란 입장도 밝혔다.
그는 최근 중국이 이란 석유를 구입할 수 있다는 발언이 제재 해제 여부를 의미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그런 의미로 말하지 않았다"며 "이란이 평화를 이룰 수 있고 어떤 손해도 입히지 않을 것이란 점을 보여준다면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재는 큰 비용이 들며 매우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4일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중국이 이란산 원유를 계속 구매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하면서, 일각에선 대이란 제재 방침 철회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