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바이오USA]큐로셀, '하이퍼카인' 기술로 CAR-T 치료제 한계 극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키메라 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 개발기업 큐로셀이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하이퍼카인' 기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이지나 큐로셀 기술사업담당 팀장은 지난 1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에서 아시아경제와 만나 "기존 상업화된 CAR-T 세포는 기대했던 것만큼 드라마틱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었다"며 "잠재력을 다 보일 수 있도록 '아머링' 기술 등을 통해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요즘 트렌드"라고 밝혔다.

큐로셀의 하이퍼카인은 CAR-T 세포에 특정 물질을 함께 탑재해 세포의 활성도와 생존 기간을 증가시키는 아머링 기술이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CAR-T 세포 활성도·생존 기간 늘려

키메라 항원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개발기업 큐로셀 이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하이퍼카인(Hyperkine)' 기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이지나 큐로셀 기술사업담당 팀장이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서 큐로셀의 향후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태원 기자

이지나 큐로셀 기술사업담당 팀장이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서 큐로셀의 향후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태원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지나 큐로셀 기술사업담당 팀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서 아시아경제와 만나 "기존 상업화된 CAR-T 세포는 기대했던 것만큼 드라마틱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었다"며 "잠재력을 다 보일 수 있도록 '아머링(armoring)' 기술 등을 통해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요즘 트렌드"라고 밝혔다.

큐로셀의 하이퍼카인은 CAR-T 세포에 특정 물질을 함께 탑재해 세포의 활성도와 생존 기간을 증가시키는 아머링 기술이다. 하이퍼카인은 현재 전립선암을 겨냥해 전립선 특이 막항원(PSMA)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고형암 적응증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이 팀장은 CAR-T 세포가 체내에서 오래 머물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을 가장 큰 한계 중 하나로 지적했다. 그는 "고형암에서는 무엇보다도 CAR-T 세포의 활성도와 생존 기간이 핵심인데, 하이퍼카인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플랫폼 기술"이라며 "하이퍼카인을 탑재한 CAR-T 세포는 탑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체내에 장기간 머물며 항암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이퍼카인 기술을 통해 CAR-T 치료제의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 CAR-T 세포가 체내에 오래 남아있을 수 있다면 체내에 주입되는 CAR-T 세포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중추신경계 부작용과 사이토카인릴리스증후군(CRS), 열, 구토 등 여러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낮추게 된다.

하이퍼카인은 플랫폼 기술로 활용할 수 있어 확장성도 높다. 이 팀장은 "하이퍼카인을 플랫폼 기술로 활용해 글로벌 제약사들이 자사 파이프라인에 탑재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비즈니스 형태의 협업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큐로셀은 이번 바이오USA에서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과 총 20건 이상의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 이 팀장은 "후속 협력 논의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고,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