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15번째…환경·사회·지배구조 이슈 반영
탄소발자국 등 7대 영향 평가체계 구축
인적자원개발 최우수기관 3관왕
삼성중공업 이 올해로 15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조선업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전략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공개했다.
삼성중공업은 25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5'를 통해 기후 변화 대응부터 공급망 관리, 기업 윤리, 다양성과 인권 등 주요 ESG 이슈를 선제적으로 반영했다고 밝혔다. 사업별 전략과 활동을 보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다.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GRI), 국제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SASB) 등 주요 국제 공시 기준에 부합하도록 작성됐다. 세부적으로는 ▲기후 변화 ▲지속 가능 기술 개발 ▲안전·보건 ▲공급망 관리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등 ESG 이슈별 세부 전략을 담았다.
환경 부문에서는 생물다양성 보호와 산림 벌채 금지 등을 포함한 환경경영 정책을 새로 수립했다. 또 선박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환경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탄소발자국 등 7대 영향 범주 기반의 평가 체계를 마련했다. 사회 부문에서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상생 프로그램 운영으로 정부 인적자원개발(HRD) 지원사업 3개 부문에서 '최우수기관'에 선정됐다. 국제 윤리 기준에 따른 분쟁 광물 관리 정책도 도입했다.
지배구조 측면에선 이사회 산하 모든 소위원회를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국제 리스크 관리 표준인 'ISO31000' 인증을 조선업계에서 처음으로 취득했다.
최성안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부회장은 "보유한 기술과 역량을 바탕으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고, 인권과 환경 등 전방위적 책임 경영을 실현해 100년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