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동 고분군 현장 설명회…제100·102호분 무덤 도굴
신라시대 무덤이 모여있는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에서 도굴의 흔적이 발견됐다.
연합뉴스는 24일 대구 북구와 대동문화유산연구원이 이날 진행한 구암동 고분군 현장 설명회에서 이러한 사실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해당 도굴은 고분군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제100·102호분 무덤에서 발생했다.
연구원이 도굴 흔적을 보여주기 위해 공개한 사진에는 무덤 위에 움푹 파인 커다란 구멍 여러 개가 나 있는 모습이 담겨있다. 도굴에 쓴 것으로 추정되는 양초나 곡괭이도 출토됐다.
대동문화유산연구원 측은 도굴로 인해 무덤의 원형을 추정하기가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도굴 탓에 유물들이 흐트러져 있어, 과거 매장 풍습이나 무덤을 만드는 방식을 파악하기 어려워서다.
연구원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보통 유물은 매장 당시 풍습에 따라 놓는 위치가 시신의 머리 위, 발아래 등 정해져 있다"며 "유물 위치가 흐트러져있어서 이 무덤만의 특징을 알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덤을 쌓을 때 어떤 토목 기술을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도 완전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며 "보통 원형 그대로 있으면 무덤이 만들어진 역순을 따라 조사한다"고 부연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공개된 유물은 토기, 철제 칼, 장신구 등 136점이다. 모든 곽이 도굴됐지만 금동제 귀걸이 1점과 목걸이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슬 등 주요 유물도 발견됐다.
출토 유물의 특징과 모양으로 짐작했을 때, 무덤들은 삼국시대인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초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