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립심포니 탄생 150주년 라벨 조명하는 정기연주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오는 7월5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폴 루이스,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황제' 협연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가 라벨 탄생 150주년을 기념해 오는 7월5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제257회 정기연주회에서 라벨의 작품 두 곡을 연주한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도 더해진다.


첫 곡으로 황제가 연주된다. 베토벤이 나폴레옹 전쟁의 포성이 울리던 1809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작곡한 작품이다. 오케스트라의 서주 뒤 협연자가 등장하는 기존 협주곡의 형식을 과감히 깨고, 도입부터 피아노 독주를 등장시켜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이 파격적인 도입은 개인의 자유와 존엄을 향한 베토벤의 정신을 드러내며, 당시 시대상은 이 곡에 영웅적이고 군사적인 색채를 더했다.

국립심포니 탄생 150주년 라벨 조명하는 정기연주회
AD
원본보기 아이콘

영국 피아니스트 폴 루이스가 황제를 협연한다. 루이스는 2010년 BBC 프롬스에서 베토벤 협주곡 다섯 곡 전곡을 연주한 최초의 피아니스트다. 지난 17일 타계한 피아노 거장 알프레트 브렌델의 수제자로서 깊이 있는 해석과 정제된 연주로 호평을 받아왔다.

라벨의 '다프니스와 클로에' 모음곡 2번과 '라 발스'가 이어진다. 라벨이 제1차 세계대전 전후 격변기에 작곡한 작품들로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다프니스와 클로에' 모음곡 2번은 여명이 밝아오는 자연의 경이를 인상주의적 음향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유려한 흐름과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 속에 고대 신화와 사랑의 회복이 서정적으로 펼쳐진다. 반면 '라 발스'는 점차 해체되는 왈츠 형식과, 우아함 속에 스며든 불협과 뒤틀림을 통해 전쟁 이후 유럽 사회에 드리운 혼란과 불안을 암시한다. 자연과 조화의 이상을 노래한 전작과 달리, 이 곡에는 질서가 무너진 시대를 바라보는 라벨의 불안한 시선이 담겨 있다.


다비트 라일란드 국립심포니 예술감독이 지휘봉을 잡는다. 라일란트 예술감독은 "격동의 시대를 지나며 변화와 혁신으로 자신만의 음언어를 확립해 간 베토벤과 라벨을 통해, 시대를 초월한 예술가들의 통찰을 따라가는 여정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