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지하철·버스 노선 몰린 곳에 대형학원 속속… 학생들 빨아들인다[新교통난민 보고서]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울의 미래 - 교통의 미래
대중교통 발달이 학원 쏠림 유도
업계 "학원 지으려면 노선부터 확인"
지방, 교통망 부족에 교육 기회 부족

편집자주교통 접근성 세계 16위 도시 서울의 다른 얼굴은 교통이라는 편의에 닿는 격차 역시 큰 도시라는 점이다. 교통망의 비약적 확충은 지역 균형이라는 목표를 추구했지만 한쪽에선 과밀화, 다른 한쪽에선 사각지대를 낳았다. 75년 대중교통의 역사를 가로질러 이제는 인공지능(AI) 교통 시스템이 구축되는 시대가 도래했지만 교통 빈곤층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교통 격차는 삶의 질 불균형을 낳는다. 아시아경제가 그 실상을 짚어보고 해법도 모색했다.

수도권 중심의 교통 배분은 일자리, 의료, 문화 등 각종 생활 서비스의 격차를 만들어낸다. 특히 '교육'은 교통 쏠림 현상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아시아경제가 서울시 학원 수와 정류장 수, 유입 인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전체 학원의 4분의 1이 강남·서초구에 몰려 있었으며 이 지역은 서울 25개 구 중 인구 이동량·교통 인프라에서도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단순히 강남 8학군에 사교육이 집중됐다는 것이 아니라 교통 격차가 교육 분야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주목된다.


대치동 학원가.

대치동 학원가.

AD
원본보기 아이콘
학원·정류장·인구이동 8학군에 집중

21일 아시아경제는 종로학원과 올 1월 기준 서울 시내 학원 수를 학군별로 나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총 1만4795개 학원 중 4분의 1에 달하는 3868개(26.1%) 학원이 강남·서초구(8학군)에 몰려 있었다. 학원 수가 가장 적은 5개 학군의 학원 수(3538개)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다. 8학군에 이어 강동·송파(6학군, 1870개), 강서·양천(7학군), 마포·서대문·은평(2학군) 순으로 학원이 많았다.

서울 지역의 학원은 왜 2·6·7·8학군에 유독 쏠려있는 것일까. 입시전문가들은 교통이 발달하는 곳에 학원 수도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학원이 대형화하면서 인근 지역의 학생들을 빨아들이게 되는데, 대중교통의 발달이 학원 쏠림을 낳았다는 얘기다. 이들 지역의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대부분 4개 노선이 겹쳐 지나간다. 그뿐만 아니라 서울 시내 정류장 수도 이들 지역에 집중됐다. 지난해 9월 기준 서울지역의 전체 정류장 수는 6640개다. 이 가운데 학원 수가 가장 많은 강남·서초(8학군)에는 749개 정류장이 몰렸고, 강동·송파(741개)와 마포·서대문·은평(786개) 등에도 700개 이상의 정류장이 설치돼 있었다. 이들 지역에는 지하철·버스가 연신 인근 지역의 인구를 태워 나른다.


지하철·버스 노선 몰린 곳에 대형학원 속속… 학생들 빨아들인다[新교통난민 보고서]⑨ 원본보기 아이콘
학원 중심지 미아리→노량진→대치동

이렇다 보니 학원업계에서는 '학원을 새로 지으려면 노선부터 확인하라'는 게 정설이다. 교통이 편리해야 학원 접근성이 좋아져 학원생이 늘기 때문이다. 학원이 본격적으로 대형화된 것도 지하철 1호선이 발달하면서다. 1974년 서울역에서 청량리역까지 9개 역을 잇는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고 연달아 수원역, 인천역, 성북역까지 전철이 들어서면서 "1호선 따라 학원 짓는다"는 말이 나왔다. 1975년 유명 재수학원인 대성학원이 노량진으로 옮기면서 학원들이 속속 모였고, 1호선이 태우고 오는 학생들을 받기 위해 노량진 학원가는 더 커졌다. 이후 강남 개발과 함께 지하철·도로망이 확충되자 학원 입지의 중심도 자연스럽게 이곳으로 옮겨갔다.


입시업계 관계자는 "30~40년 전만 해도 미아리(지금의 길음동)에 가장 큰 학원이 있어 학생이 몰렸지만, 강남 개발과 교통 발달로 판도가 달라졌다"면서 "사교육 시장은 교통 발달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하철·버스 노선 몰린 곳에 대형학원 속속… 학생들 빨아들인다[新교통난민 보고서]⑨ 원본보기 아이콘
대치·중계동 '오후 5~6시' 집중 유입

최근에는 지하철 연장, 수서고속철도(SRT) 신설 등으로 서울 외곽 지역에서 강남 대치동 학원가로 오는 학생이 크게 늘었다. 대치동에는 강남구(2639개)의 절반가량인 1270개의 학원이 몰려 있다. 학원 수가 가장 적은 중구(105개)와 비교하면 12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 중 학원가가 몰린 대치1동과 대치4동의 유출입 인구 현황을 보면,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서 인구가 유입되는지 알 수 있다.


지하철·버스 노선 몰린 곳에 대형학원 속속… 학생들 빨아들인다[新교통난민 보고서]⑨ 원본보기 아이콘

대치4동의 경우 지난 5월 약 336만명(유입 336만6300명, 유출 336만2200명)이 오갔다. 주로 서초구·송파구 등 인근 지역에서 이동이 이뤄졌지만 하남시(3만1586명), 성남시 수정구(3만4210명), 광주시(1만9778명), 용인시 기흥구(2만1037명), 남양주시(2만6508명) 등 경기 지역에서도 인구 유입이 활발했다.


서울 3대 학원가(대치동, 목동, 중계동) 중 한 곳인 노원구 중계동도 마찬가지다. 학원 밀집 구역인 중계1동의 유출입 인구 현황을 보면 5월 한 달간 약 110만명(유입 110만73명, 유출 110만1843명)이 오갔다. 인근 도봉구, 종로구, 중랑구뿐만 아니라 구리시(8028명), 의정부시(3만2099명), 남양주시(3만8926명), 양주시(9749명), 포천시(5819명) 등에서 유입됐다.


특이한 점은 유입 시간대다. 다른 지역의 유입인구는 대부분 오전 8시에 집중되는데, 이곳에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시간은 오후 5시다. 대치1동도 오후 6시에 유입인구가 가장 많았다. 주로 학교를 마치고 학원으로 이동하는 학생일 것으로 해석된다. 중계동에서 재수학원을 운영 중인 한 원장은 "인근의 남양주, 의정부, 도봉구에서 학생들이 몰려온다"며 "교통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대형 강의가 늘어나게 되고 인근 지역의 학생을 빨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하철·버스 노선 몰린 곳에 대형학원 속속… 학생들 빨아들인다[新교통난민 보고서]⑨ 원본보기 아이콘
교통소외가 학원집중·인구유출로 이어져

교통이 집중된 강남과 달리 지방은 교통망 부족으로 교육 기회조차 확보하기 어렵다. 지역 내 적절한 학원이 없어 교육 이주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거제에서 고등학교 2학년 자녀를 키우는 강모씨(50)는 지난 겨울방학 때 아이를 대치동에 보냈다. 강씨는 "같은 지역 내에서도 학원 가려고 1시간씩 이동하느니, 서울 학원 인근에 오피스텔을 얻어 이동시간 줄이고 공부에 집중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이 같은 지방의 교통·교육 소외 현상은 인구 유출을 부추길 수 있다. 2022년 기준 강원, 전북 등 43개 고등학교에서는 1등급인 학생이 나올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내신 9등급제에서 1등급(4%)을 받으려면 최소 학생 수가 13명이 돼야 하는데, 이들 학교는 학생 수가 13명도 안 됐기 때문이다. 박경아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양질의 서비스를 찾아 인구와 일자리가 다시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악순환에 빠지기 때문에 균형 있는 자원 배분이 필요하다"며 "다층적 분석을 통한 교통 서비스 양극화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