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지난해 브랜드 수입만 611억원
외국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브랜드로 사용하겠다며 거액의 수수료를 지불한 사례가 다수 파악됐다. 미국을 대상으로 관세 등 다양한 정책과 관련한 로비를 벌이는 업체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트럼프 대통령 가문의 기업 활동에 이해 충돌 여지가 적지 않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공개된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브랜드 판매 수입이 4460만달러(약 611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동산 개발업체 다르 알 아르칸은 사우디와 오만, 두바이 등에서 진행 중인 개발 프로젝트에 트럼프 브랜드를 사용하는 대가로 2200만달러(약 301억원)를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바이의 개발업체 다막도 520만달러(약 71억원)를 트럼프 브랜드 사용료로 냈다.
또 베트남 개발업체는 500만달러(약 68억원)를, 인도의 억만장자 무케시 암바니가 소유한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는 1000만달러(약 137억원)를 각각 트럼프 브랜드 사용료로 지불했다.
트럼프 브랜드 사용 계약에 대한 세부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개발업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내세운 호텔 등을 짓는 대가로 수수료와 판매 수익 일부를 받았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 가문의 기업 활동에 이해 충돌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동산 개발 사업은 정부의 승인 절차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외국 정치와 얽히기 쉽다고 우려하는 것이다.
실제 이번에 트럼프 브랜드 사용 계약을 한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는 미국을 상대로 관세와 석유 등 다양한 정책과 관련한 로비를 벌이는 업체다. 이 기업의 소유주인 암바니는 트럼프 브랜드 사용 계약에 이어 올해 1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베트남의 경우 트럼프 브랜드 프로젝트에 대한 승인이 추진되던 시점에 베트남 정부가 고율 관세 인하를 위해 미국에 로비를 벌이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야당인 민주당과 정부 윤리 감시단체들은 외국 기업과 트럼프 대통령 측의 거래를 비판했다. 하지만 공화당에선 별다른 지적이 없는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당시 외국과 새로운 부동산 거래를 중단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트럼프 일가의 가족 기업 '트럼프 오가니제이션(Trump Organization)'을 이끄는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주니어는 최근 카타르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자제 조치에도 비판이 계속됐기 때문에 이번에는 사업을 억누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외국 정부와의 직접 거래는 피하겠지만, 트럼프 그룹의 영업을 일부러 중단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셈이다.
외국 기업에 대한 수수료 수익에 대해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을 위한 좋은 거래를 성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 정부윤리청(OGE)이 공개한 재산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에만 6억달러(약 8200억원) 상당의 소득을 벌어들였다. 가상화폐와 골프클럽, 라이선스 사업, 부동산 수입, 기타 벤처 사업 등에서 소득이 발생했다고 신고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2억원 내면 30일 지낼 수 있어…자산가들 사이 인기라는 '장소'어디[럭셔리월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0411495433871_175159739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