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해수욕장 잇단 안전사고에 '책임 공방만'
안전부재 지적 불구 뒷짐…'안일 행정' 비난 쇄도
제주지역 해수욕장에서 지난 주말 사이 잇따라 물놀이 사고가 발생했지만, 제주도와 제주시 모두 "아직 대책을 협의 중"이라며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성수기 전에도 인파가 몰릴 수 있다는 점이 충분히 예측 가능했음에도 사전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안전사고로 이어지면서 행정의 책임 회피와 공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주말을 맞아 지난 7일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수욕장에는 연휴를 맞아 많은 인파가 몰렸다. 해변 곳곳에 텐트가 설치되고 차량이 도로를 점령했지만, 안전요원이나 질서를 관리할 관계자들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당시 본지는 현장을 취재해 교통혼잡과 안전관리 부재(본보 지난 7일 '제주도 안 간다고 할 땐 언제고…"SNS 핫플 되자 우르르 몰려왔다"' 제하) 등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일주일 뒤인 지난 14일 인근 함덕 해수욕장에서 중학생이 물놀이 중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고, 같은 주말 서귀포시 중문 색달해수욕장에서도 14세와 16세 미국인 청소년이 물에 빠지는 등 해안가에서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이처럼 언론 보도 이후 실제 사망사고까지 발생했음에도, 제주도와 제주시 모두 '현재 관련 부서와 협의 중'이라는 원론적 답변만 내놓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해수욕장 개장 전에는 해양경찰이 해변 안전을 담당한다"고 밝혔지만, 해경 측은 "해수욕장 물놀이 안전 예방활동은 소관 업무가 아니다"는 입장을 보여, 지자체가 업무 분담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채 책임 떠넘기기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이번 사고는 연휴와 더운 날씨로 피서객이 급증할 가능성이 충분히 예상됐던 상황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행정당국은 해수욕장 공식 개장을 이유로 안전요원 배치나 현장 정비 등 실질적 조치를 미뤄왔다.
전문가들은 "해수욕장 개장 여부와 관계없이 실제 인파가 몰리는 시점부터는 안전관리 체계가 가동돼야 한다"며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제주도는 내달 초 해수욕장 공식 개장을 앞두고 있지만, 연휴와 주말에는 이미 여름 휴가철 수준의 인파가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무분별한 캠핑과 불법 주차, 안전요원 부재 등의 문제는 매년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번 사고의 경우 명확한 책임 주체 없이 행정기관 간 협의만 반복되는 모습은 행정 공백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는 평가다. 사전 경고가 있었음에도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점에서, 제주도의 소극적 대응과 책임 회피성 행정은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호남취재본부 박창원 기자 capta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