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차원 대응 필요 수준 아냐”
광산구, 경제위기지역 지정 추진 방침

지난 12일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문 앞이 한산하다. 지난달 17일 발생한 화재로 일자리를 잃게 된 노동자가 2,500여명이라고 밝힌 금속노조 금호타이어지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생계 위협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거부했다.
14일 광주 광산구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지난 12일 광산구가 건의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청에 대해 수용이 어렵다는 공문을 보내왔다. 행안부는 사고의 성격과 피해 규모, 과거 사례 등을 종합할 때 국가 차원의 긴급 대응이 필요한 수준은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다. 이어 "광주시와 광산구의 행정·재정적 능력으로 조치하라"는 입장을 밝혔다.
광산구는 금호타이어 화재와 더불어 위니아전자 등 지역 기업의 잇따른 파산까지 고려해 정부에 '경제 위기 지역' 지정을 별도로 요청할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주민 피해와 고용 문제에 대해 지주사인 더블스타가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며 "책임 회피는 용납될 수 없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