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단속에 반발하는 시위가 8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13일(현지시간) 미 해병대 병력이 현장에 투입됐다. 군병력이 미국 내 시위 현장에 투입된 것은 1992년 LA 폭동 이후 처음이다.
해병대를 지휘하는 '태스크포스 51' 사령관 스콧 셔먼 미 육군 소장은 이날 "약 200명의 해병대원이 이미 현장에 배치된 주 방위군과 합동 작전을 시작했다"며 "(이 병력은) 해당 지역의 보안 업무를 넘겨받아 수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까지 해병대나 주 방위군 병력은 (불법 이민자나 시위자) 누구도 구금하지 않았다"면서 "군 병력은 법 집행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로이터 통신은 해병대가 윌셔 연방 건물 앞에서 한 남성을 구금하는 장면이 목격됐다고 보도했다. 한 대원이 벤치를 넘어 정원을 가로질러 남성을 추격해 제압했고 이후 다른 해병이 가세했다.
로이터가 촬영한 사진에는 해병대가 이 남성의 손을 케이블 타이로 묶은 후 약 2시간 뒤 국토안보부(DHS) 소속 인력에게 인계하는 장면이 담겼다.
미군은 구금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으며, 이는 현역 군인에 의한 민간인의 첫 구금 사례로 알려졌다고 통신은 전했다. 미군은 "특정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개인을 구금할 수 있다"며 "해당 구금은 민간 법 집행 인력에게 안전하게 인계되는 즉시 종료된다"고 설명했다.
구금된 민간인은 27살 이민자이자 미 육군 참전 용사인 마르코스 레아오로 파악됐다. 그는 건물 주변을 돌아가지 않기 위해 경계 테이프를 넘었고, 제한 구역을 넘었다는 이유로 땅에 엎드리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풀려난 후 현장 취재진과 만나 "재향군인부 사무실에 가려고 했는데, 해병대가 자신을 시위자로 오인한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군 병력이 국내 시위 현장에 투입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군이 폭동 진압을 위해 투입된 것은 1992년 로드니 킹 폭행 사건 관련 LA 폭동 이후 처음이다. 당시에는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대통령에게 군 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LA에서 이민 단속에 대한 항의 시위가 거세지자,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해병대가 파견됐으며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병력 투입에 반대했지만 강행됐다. 이에 해병대원 700명은 지난 9일 밤 LA에 도착해 현장 투입에 대비해왔다.
LA에 야간 통행금지가 내려진 지 3일째인 전날 총 49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33명은 해산 명령을 이행하지 않았고 13명은 통행금지를 위반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