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얼이 살아있는 곳… 영양군 주실마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경북 영양군 일월면 '주실마을'은 능선이 서로 맞닿는 곳에 자리 잡았다.


그래서 주실(注室) 또는 주곡(注谷)으로 불렸으며 넓게 펼쳐진 들판, 마을을 둘러싼 산세와 한옥의 정취는 잊고 살던 문학의 향기를 다시 피어오르게 만든다.

'청록파 시인'으로 유명한 '조지훈 시인'이 태어났고 마을 중앙에는 시인의 발자취를 따라 지훈문학관이 자리 잡고 있다.

영양-주곡 지훈문학관.

영양-주곡 지훈문학관.

AD
원본보기 아이콘

지훈문학관에는 소년 시절부터 광복과 격정의 현대사, 그의 가족 이야기까지 시인의 삶을 회고할 수 있는 자료들을 포함해 문갑, 모자, 장갑, 담배 파이프 등 일상에서 사용하던 물품들도 전시가 돼 있어 시인 조지훈과 인간 조지훈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조지훈 시인은 '지조론'으로도 유명한데 일제 강점기에 서슬 퍼런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던 주실마을 사람들의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또 주실마을은 길을 따라 늘어선 한옥, 쏟아지는 별빛으로 고즈넉한 여름밤의 정취를 즐기기에 알맞으며 마을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한옥 스테이'는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느끼는 '공감각'을 선사한다.

오도창 군수는 "주실마을은 여러 고택과 서당 등 문화자원들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지훈문학관과 시공원, 시인의 숲 등 민족의 얼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라며 "다가오는 여름, 나무 내음 나는 한옥에서 별을 헤아리며 주실마을에서 힐링하는 시간을 가지길 추천한다"라고 말했다.


지훈문학관 해설은 사전에 신청해야 하며 전화로 문의할 수 있다.

영양 조지훈 생가.

영양 조지훈 생가.

원본보기 아이콘




영남취재본부 김귀열 기자 mds724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