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유네스코 현장실사 보류
유정복 시장 "외교적 해결 방안 모색"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대청도 일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하는 절차가 북한의 이의 신청으로 중단됐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9일 유네스코 측에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에 대한 반대의견을 서면으로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네스코는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과 관련해 회원국이 이의 신청을 하면 더 이상 과학적 평가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관련 당사국들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예정된 백령·대청면과 주변 해역에 대한 유네스코 현장실사 일정은 보류됐다.
인천시는 2023년 환경부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했고 지난해 2월 국내 후보지로 최종 선정됐다. 이어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지정 정식 신청서를 제출했고 세계지질공원 규정에 따라 올해 2월부터 3개월간 회원국 공람을 진행했다.
시가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신청한 지역은 옹진군 백령면(백령도), 대청면(대청·소청도) 육상 66㎢와 주변 해상 161㎢이다.
해당 지역은 작은 면적임에도 전 세계 자연유산에 뒤지지 않는 뛰어난 풍광과 지질 유산이 다수 분포해 있다. 내륙과는 다른 지질 특성과 지리적 위치로 동아시아 지각의 진화 과정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품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는 10억~7억년 전의 신 원생대 암석들이 존재하는 곳이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스트로마톨라이트(남조류 활동으로 생성된 화석)가 발견되기도 했다.
다음 달 진행될 현장실사에서는 유네스코 평가자들이 지난해 11월 제출된 지정 신청서, 자기평가서 등의 내용을 확인할 예정이었다. 북한 당국의 이의 신청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왜 이의 신청을 했는지 공개되지 않았지만, 우리의 해상영토임이 분명한 NLL(북방한계선)에 대한 무력화 의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유 시장은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 재개를 위해 정부와 협력해 구체적인 반대 내용을 파악하고 외교적 해결을 모색하겠다"며 "필요하다면 북한 당국과 직접 만나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무 부처인 환경부는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의 이의 제기 이유를 파악한 뒤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정부에도 북한이 이의를 제기했다는 사실만 통보된 것으로 전해진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명소와 경관을 보호하고 기후변화와 지질재해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특별 관리하는 곳이다. 현재 48개국, 195곳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제주도·청송 등 5곳이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받았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