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對中 규제로 수십억 달러 손실
황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에 반영되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폭발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지금의 트럼프 행정부까지 이어진 미국의 대중(對中) 수출 통제가 "실패했다"고 질타하며 이로 인해 엔비디아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손해를 떠안았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젠슨 황 CEO는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과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우리는 수출 규제로 중국에 H20 제품을 출하할 수 없게 됐고 결국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며 "일부 반도체 회사의 전체 매출과 맞먹는 규모"라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 장희준 기자
엔비디아는 지난해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약 170억 달러의 매출을 냈다. H20 칩은 그간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성능을 낮춘 유일한 칩이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H20 칩의 수출마저 제한하고 나선 상태다.
황 CEO는 "4년 전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될 때 중국 인공지능(AI) 칩 시장의 95%를 엔비디아가 점유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절반으로 줄었다"며 "게다가 우리는 사양이 낮은 제품만 팔 수 있었기 때문에 평균판매단가(ASP)도 떨어졌고 그만큼 수익을 잃었다"고 했다.
다만, 황 CEO는 엔비디아가 H20 칩보다 더 낮은 성능 버전을 중국에 새로 출시할 거란 일각의 추측에는 선을 그었다. 그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Hopper) 아키텍처는 더 이상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황 CEO는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에 있고 우리는 그들이 엔비디아 플랫폼 위에서 AI를 만들길 바란다"며 "딥시크 모델은 엔비디아 위에서 만들어졌고 그건 우리에게도, 세계에도 선물이었다"고 역설했다. 이어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인 데다 내 예상으로는 내년 AI 시장 전체가 약 5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이라며 "이는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엄청난 기회이며 놓치기 아깝다"고 했다.
미국을 향해서는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황 CEO는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며 "어떤 이유든지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중국 시장을 통해) 미국은 세수도 늘리고 일자리도 만들고 산업도 유지할 수 있다"며 "선택지는 아주 제한적이고 당장 해결책은 없지만 (중국 시장에 대한 대안을) 계속 고민해보겠다"고 덧붙였다.
타이베이(대만)=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병이 든 마을, 아무도 살지 않는다"…서울 한복판 번져가는 폐가 [13만 빈집리포트]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52207560068248_1747868160.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