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대놓고 반기 든 젠슨 황 "미국의 中 수출 통제는 실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엔비디아, 對中 규제로 수십억 달러 손실
황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에 반영되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폭발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지금의 트럼프 행정부까지 이어진 미국의 대중(對中) 수출 통제가 "실패했다"고 질타하며 이로 인해 엔비디아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손해를 떠안았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젠슨 황 CEO는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과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우리는 수출 규제로 중국에 H20 제품을 출하할 수 없게 됐고 결국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며 "일부 반도체 회사의 전체 매출과 맞먹는 규모"라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 장희준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 장희준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엔비디아는 지난해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약 170억 달러의 매출을 냈다. H20 칩은 그간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성능을 낮춘 유일한 칩이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H20 칩의 수출마저 제한하고 나선 상태다.


황 CEO는 "4년 전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될 때 중국 인공지능(AI) 칩 시장의 95%를 엔비디아가 점유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절반으로 줄었다"며 "게다가 우리는 사양이 낮은 제품만 팔 수 있었기 때문에 평균판매단가(ASP)도 떨어졌고 그만큼 수익을 잃었다"고 했다.


다만, 황 CEO는 엔비디아가 H20 칩보다 더 낮은 성능 버전을 중국에 새로 출시할 거란 일각의 추측에는 선을 그었다. 그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Hopper) 아키텍처는 더 이상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황 CEO는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에 있고 우리는 그들이 엔비디아 플랫폼 위에서 AI를 만들길 바란다"며 "딥시크 모델은 엔비디아 위에서 만들어졌고 그건 우리에게도, 세계에도 선물이었다"고 역설했다. 이어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인 데다 내 예상으로는 내년 AI 시장 전체가 약 5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이라며 "이는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엄청난 기회이며 놓치기 아깝다"고 했다.


미국을 향해서는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황 CEO는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며 "어떤 이유든지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중국 시장을 통해) 미국은 세수도 늘리고 일자리도 만들고 산업도 유지할 수 있다"며 "선택지는 아주 제한적이고 당장 해결책은 없지만 (중국 시장에 대한 대안을) 계속 고민해보겠다"고 덧붙였다.





타이베이(대만)=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