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새 병원선이 백령면을 포함한 6개 면으로 순회진료를 확대해 비연륙도서 모든 지역에서 진료가 가능해진다.
인천시는 126억원을 투입해 지난달 건조한 병원선 '건강옹진호'가 다음 달 취항식을 열고 본격적인 정기 진료에 들어간다고 21일 밝혔다.
건강옹진호는 기존 병원선인 '인천531호'(108t)보다 배 이상 큰 270t급에 길이 47.2m로, 최대 44명을 태우고 최고 시속 46㎞로 운항할 수 있다.
인천531호가 의료기관이 없는 옹진군의 3개 면(덕적·자월·연평면) 9개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된 것과 달리 '건강옹진호'의 서비스 대상 지역은 백령·대청·북도면을 추가해 6개면 17개 도서로 확대됐다. 이로써 인천 비연륙도서 모든 지역에서 병원선 진료가 가능해졌다.
건강옹진호는 내달 정식 취항에 앞서 20~21일 백령면과 대청면 주민을 대상으로 임시 순회진료를 했다. 특히 백령도는 노후화한 기존의 병원선이 닿을 수 없는 먼 곳으로 이날 주민들은 처음으로 병원선의 의료 서비스를 받았다.
공중보건의사 3명을 포함해 총 7명이 근무하는 건강옹진호는 연간 44회, 총 132일 순회 진료할 예정이다. 진료 과목도 기존에는 내과, 한의과, 치과 진료만 가능했으나 물리치료실, 임상병리실, 보건교육실이 추가돼 예방접종, 골밀도 검사, 엑스레이(X-Ray), 혈액검사, 인공지능(AI) 기반 심장진단검사 등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인공지능 심장검사 장비는 10초간의 정상동율동(ECG)에 미세하게 내재한 신호를 AI로 분석해 환자의 심장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심장질환 예측과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검사 결과는 보건소 내과에서 1차 판독을 하며,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인하대병원 심장내과 전문의 진료로 연계할 예정이다.
새 병원선은 건강증진사업, 이동금연클리닉, 구강교육, 정신·치매 예방 사업도 추진한다. 시는 1섬 1주치 병원과 민간병원, 의료봉사단체의 전문의 의료진과 병원선 의료장비를 활용한 다양한 진료를 제공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건강옹진호는 단순한 병원선이 아닌 '이동형 보건의료 거점'이 될 것"이라며 "의료 취약지역에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