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장사시설 관련 가짜 정보 난립
허위 정보 확인 없이 온라인서 확산
공공사업 신뢰 훼손하려는 부적절한 시도
경기 양주시는 현재 추진 중인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사업과 관련해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사실과 다른 허위 정보가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시민들에게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판단을 당부했다.
20일 양주시에 따르면 최근 일부 온라인 카페 등에서는 종합장사시설과 전혀 무관한 민간 추모시설의 법적 분쟁 사례를 끌어와 이번 사업이 특정인의 사익과 연결된 것처럼 왜곡하는 주장이 퍼지고 있다.
양주시는 이 같은 내용은 사실관계에 근거하지 않은 억측이며, 공공사업의 신뢰를 훼손하려는 부적절한 시도라고 지적했다.
양주시는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사업은 의정부, 남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등 6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순수 재정 공공사업"이라며 "사업 전 과정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경기도 등 중앙 및 광역 행정기관의 철저한 심사와 평가를 거쳐 진행 중이며, 민간 자본이나 특정인의 이익 개입은 전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특히 예산 배분, 부지 선정, 시설 규모, 운영 방식 등 모든 의사 결정 과정이 투명한 공공 절차를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추후 운영도 양주도시공사에 위탁되어 정산 및 감사 등 철저한 공공 관리 체계 아래에서 운영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양주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장례 인프라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주민들의 원정 화장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자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경기 북부에는 고양시의 서울시립승화원을 제외하고 공공 장사시설이 전무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북부 지역 6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양주시는 운영 비용 측면에서도 공공시설이 시민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시가 운영 중인 경신하늘뜰공원 봉안당의 안치료는 50만원 수준으로, 민간 시설 대비 10배 이상 저렴하다. 종합장사시설 또한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양주시 관계자는 "일부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화장터', '납골당', '죽은 자의 도시' 등의 자극적인 표현은 공포와 거부감을 유도하려는 과장된 표현일 뿐"이라며 "해당 시설은 첨단 기술과 친환경 설계가 반영된 현대식 장사시설이며, 전체 부지의 87%는 공원, 산책로, 휴양림 등 시민을 위한 자연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민의 알 권리를 존중하며, 건전한 비판과 의견 제시에는 언제든 귀를 열고 있다"면서도 "사실 확인 없이 퍼지는 왜곡된 주장보다, 시가 제공하는 공식 자료와 행정 절차를 바탕으로 판단해달라"고 당부했다.
끝으로 시는 "종합장사시설은 특정인을 위한 것이 아닌, 시민 모두의 복지 증진과 공공성을 위한 필수 기반시설"이라며 "앞으로도 투명하고 정직한 행정을 통해 시민의 신뢰를 얻겠다"고 덧붙였다.
양주=이종구 기자 9155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